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

코인리포트

커뮤니티

메타버스 행보 본격 시작 [샌드박스(SAND)]

작성자 romanticpeople 조회수 3642 작성일 23.01.16  07:46
1673822743_0_4cd73af882df8e82769da0abaca3d301.png샌드박스(SAND)
샌드박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유저 생성 컨텐츠(UGC) 및 분산형 게이밍 플랫폼이다. 샌드박스는 사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자산 토큰을 취득하고 판매해 수익화할 수 있는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며 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인 SAND로 보상받을 수 있는 가상 세계다.

샌드박스(SAND)의 주요 특징
1. Voxel Edit(VoxEdit)
크리에이터는 VoxEdit을 사용하여 개인 3D 콘텐츠 및 애니메이션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대체불가토큰(NFT)으로 변환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또 크리에이터는 슈팅게임, 겜블링, RPG, 어드벤처 배틀 로얄 등 자신이 제작한 게임 세계에 멀티 플레이어 요소를 추가하여 온라인 상으로 다양한 플레이어들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2.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
샌드박스의 마켓플레이스는 VoxEdit에서 사용자가 만든 자산을 업로드·퍼블리싱 및 판매할 수 있다.

3. 게임 메이커(Game Maker)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통해 자체적으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배치한 아이템에 대해 애니메이션 효과, 아바타, 버튼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유저들이 아이템의 세부 특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차트분석
1673822774_0_ca6b27c91f301a6186eaa4cfa95c7b63.jpg
샌드박스는 업비트 거래소 기준으로 지난 2021년 1월 상장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화로 인해 메타버스 관련 플랫폼들이 급부상하면서 샌드박스도 가치가 올라갔다. 같은 해 5월 2억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와의 NFT 출시 협업으로 1000원대까지 급등했다.

이후 전체 암호화폐 대폭락 장인 2021년 6월 한 때 172원까지 떨어졌지만 같은 해 11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에서 무려 11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받은 초대형 호재로 단숨에 1만원 고점을 찍었다. 특히 비전펀드2가 처음 투자한 크립토 자산이 샌드박스였다.

그러나 2021년 12월부터 시작된 장기하락장에 별다른 반등 없이 지난해 12월 30일에 479원까지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대기업인 삼성과 LG에서 투자를 받고 타임지가 선정한 2022년 세계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포함되는 저력을 보여줬지만 전체 암호화폐 시장 하락장을 버티지 못했다. 하지만 2023년 새해부터 반등하기 시작해 현재 600원 중반대까지 상승했다.

최근 호재 : 메타버스 행보 본격 시작 + SM 협업

지난해 2월 24일 샌드박스는 SM엔터테인먼트 계열사 SM브랜드마케팅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창안한 개념인 'Play2Create'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첫 번째 메타버스 플랫폼 협업을 시작했다. 협업의 일환으로 지난 10일 샌드박스는 '광야 더 샌드박스' 가상 공간을 공개했는데 그중 한 부분을 구성하는 SM엔터테인먼트미래 세계관 SM컬처유니버스도 선보였다. 메타버스 행보가 본격화되며 호재로 작용해 시세에도 반영됐다.

향후전망 : '400개, 400만명' 샌드박스의 위상을 보여주는 수치

샌드박스는 2022년 기준 400개 이상의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샌드박스의 이용자 수는 4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가 '크립토 겨울'이라고 불릴 정도로 전체 시장 성장성이 둔화된데 비해 샌드박스의 2022년은 화려했다. 물론 시세는 바닥을 쳤지만 샌드박스 생태계는 더욱 견고해졌다.

샌드박스는 올해 코딩 없는 게임 개발 툴 '게임메이커'와 모바일버전 '더 샌드박스'를 출시해 생태계를 확장할 예정이다. 메타버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샌드박스의 2023년이 기대된다.

내용

* 상업성 글이나 욕설등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음글 옴 파이낸스 해킹 발생 [아이콘(ICX)]
이전글 다날의 암호화폐 결제서비스 [페이코인(P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