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카키코인 드래곤EX 거래소 상장 확정
KAKI Project
K-Culture 및 K-Pop 인프라와 결합한 MICE 산업의 새로운 강자
공식홈페이지: https://kakiproject.io/
백서: https://kakiproject.io/files/0424_Kaki_whitepaper.pdf
About KAKI Project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Culture와 IT 산업과의 결합으로 MICE 산업의 새로운 혁신자가 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고유한 경쟁력인 K-Pop, K-Beauty, K-Medical 등의 K-Culture와 IT산업과의 융·복합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여 MICE행자들에게 원천적인 고품질의 유의미한 경험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고 특별하고 강화된 경험을 간직함으로써 재방문의 선순화 구조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은 기대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1. 한류 콘텐츠와 축제/행사 등 연계 가능한 틈새상품을 결합하여 글로벌 관광객 유치
2. MICE 산업과 K-Culture 콘텐츠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3.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기술을 활용, 국경 없는 편리한 결제 및 가치 유통 구현
◆기존 MICE 산업 내 복잡한 중개 구조의 최적화를 통한 비용 최소화
◆ 아시아 최고 미디어그룹 KCT에서 개발하는 프로젝트!
◆ 정철 어학원 권준오 대표 모델라인 박응준 대표 참여
◆ 현재 코인빗 상장 코인!
◆ 9월 6일 중국 대형거래소 드래곤EX 상장 확정
◆ COINALL 거래소 상장예정 (OKEX 거래소와 협업관계)
프로젝트 생태계 구성요소
◆ 사용자
- 사용자(참여자/관광객): 토큰 구입 후 이벤트/축제 입장 및 상품구매/관람, 가맹점 결제에 사용
- KAKI 프로젝트(주관) : 토큰 발행 및 유통/운영 관리, 행사 주관 및 기업 모집, 마케팅 진행, 가맹점 제휴 및 행사 주최를 통해 환수한 토큰의 선순환 체계 구축 및 확대
- 행사 참여기업/가맹점: 사용자로부터 토큰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 받은 토큰은 거래소 또는 주관사로 반환, 필요시 주관사로부터 토큰 구입 후 행사 준비/진행에 활용
◆ 플랫폼
-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 운영하는 주체
-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토큰이 사용될 수 있는 행사/축제를 기획, 주최하며 제휴 가맹점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을 진행
◆ 토큰
- 생태계 내에서 서비스 및 재화와 교환되는 지불 가치 단위
-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현되어 거래의 불변성과 안정성
[KAKI 주요사업 목표]
[KAKI 주요사업 추진 방향]
KAKI 공식 텔레그램방: https://t.me/kakiproject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