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6일 "비트코인 횡보 속 시장점유율 올해 최저"…크립토닷컴 체인 토큰 '폭등'
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3월 16일 오전 8시 3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23,000원 (0.53%) 상승한 4,36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98% 상승한 3,96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93억 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캐시는 12,400원 (8.41%) 상승한 159,9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0.82% 상승한 14,79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격 상승폭을 보면 트루체인 (20%) 모나코 (13.69%) 비트코인 캐시 (8.41%) 카이버 네트워크 (5.66%) 룸네트워크 (4.56%) 에이다 (4.32%) 왁스 (4.06%) 라이트코인 (3.93%) 다빈치 (3.78%) 레이든네트워크토큰 (3.76%) 뉴이코노미무브먼트 (3.71%) 코르텍스 (3.61%) 월튼체인 (3.49%)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 (3.2%) 이오스 (2.78%) 스트라티스 (2.64%) 이오스트 (2.63%) 오디세이 (2.54%) 이더리움 (2.44%) 버지 (2.33%) 아이앤에스 (2.24%) 웨이브 (2.18%)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대시 (730,135,193,941원) 모네로 (507,479,078,962원) 비트코인 (16,510,433,826원) 이더리움 (10,720,268,279원) 비트코인다이아몬드 (8,826,238,348원) 이오스 (8,380,407,877원) 비트코인 캐시 (7,912,162,088원) 리플 (7,781,871,234원) 엔진코인 (7,324,431,060원) 퀀텀 (6,782,910,319원) 에어론 (3,679,014,647원) 모나코 (3,141,885,410원) 월튼체인 (2,505,698,884원) 아피스 (2,279,183,182원) 버지 (2,143,196,564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은 가격 변동성이 계속 줄어들면서 3,900달러 선에서 횡보세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이 코인마켓캡 기준 올해 최저치인 약 50.7%를 나타내며, 지난 1월 6일 51%가 일시 붕괴된 이후 처음으로 51%를 내줬다.
이같은 비트코인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기술적 분석을 근거로 "비트코인이 최근 횡보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높은 수준으로 불어난 거래량이 유지되면서 강세 브레이크아웃(bull breakout)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3,900달러 부근에서 계속되는 횡보장세는 최근 고점 4,207달러를 향한 강세 브레이크아웃(자산 가격이 갑자기 새로운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의미)으로 끝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해당 매체는 "장기간의 다지기가 강세론자들의 의지를 시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비트코인이 랠리를 지속하기 앞서 3,865달러 지지선(3월 12일 저점) 아래로 일시 하락하는 상황이 목격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은 3% 넘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조셉 루빈 컨센시스 CEO가 북미 최대 IT·엔터테인먼트 페스티벌 2019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SXSW)에서 "이더리움은 업계에서 여전히 중요한 입지를 점하고 있다. 시장에서 사라진다거나 실패할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더리움 2.0 실현이 멀지 않았다. 이더리움 생태계는 1년 전보다 훨씬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시총 8위 암호화폐인 스텔라루멘(XLM)도 긍정적인 소식에 강보합세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 소재 글로벌 신용평가사 와이스 레이팅스(Weiss Ratings)는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스텔라가 뉴욕 외 지역에서 코인베이스 프로에 상장됐다"며 "리플보다 우수한 기술을 지닌 스텔라의 채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시총 '톱10' 코인도 일제히 강세장을 연출하고 있는 가운데 라이트코인(LTC, 시총 4위)과 비트코인캐시(BCH, 시총 6위)가 각각 4%, 8% 가량 상대적 큰 폭의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중상위 암호화폐 중에는 결제와 암호화폐를 선도하는 플랫폼인 크립토닷컴(Crypto.com)의 자체 암호화폐인 크립토닷컴 체인(Crypto.com Chain, CRO) 토큰이 전날 업비트(Upbit)에 상장하면서 60% 가량 폭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총액도 4억 달러로 급증하며 21위에 올라섰다. 홍콩에 본사를 둔 크립토닷컴은 비자 카드를 포함한 다양한 결제 채널을 통해 암호화폐 수용을 확대한다는 목표를 추구하는 결제 플랫폼이다.
한편 이날 암호화폐 주요 뉴스로는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측 대변인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를 통해 "CME는 BTC 선물 계약과 관련해 발표할 변동 사항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CBOE 산하 CFE는 공식 채널을 통해 "3월 내 새로운 XBT(CBOE 비트코인(USD)) 선물 계약을 출시할 계획이 없다"며 "향후 추가 서비스를 내놓을 생각이지만 당장은 새로운 XBT 선물 계약을 출시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세계 최대 거래소 그룹인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 산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Bakkt)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아담 화이트(Adam White)가 "백트와 ICE의 가장 큰 장점은 불명확 혹은 불투명한 상품과 오브젝트에 규제 명확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출처 : 코인리더스 http://www.coinreaders.com/3718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