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오비 위클리, 최상단 이미지.jpg

개요

금주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 주 대비 상승장을 연출, TOP 100 프로젝트 중 61개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2019년 2월 25일까지 시총 TOP 100 프로젝트들의 시총은 1,228.99 억 달러로, 증가폭은 3.48%였다. 이번주 총 3개의 프로젝트가 새롭게 TOP 100에 진입했다. 2월 25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3,810.43 달러로 지난 주 대비 3.64% 올랐다. 이더리움 가격은 135.85 달러로 지난 주 대비 2.08% 상승했다. 

금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블록 크기는 전주 대비 감소했고, 블록 당 평균 거래 수는 변동이 없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블록 크기는 전주 대비 증가했으며, 블록 당 평균 거래 수는 전주 대비 증가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평균 미체결 거래 수는 지난 주 대비 21.26% 감소했고,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미체결 거래 수는 전주 대비 증가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채굴 비용은 지난 주 대비 상승했다. 비트코인 7일 평균 미체결 거래량은 8,575 건을 기록했으며, 이더리움 7일 평균 미체결 거래량은 30,353 건을 나타냈다. 금주 비트코인 해시 파워는 지난 주 대비 4.77% 상승했으며, 이더리움 해시 파워는 지난 주 대비 8.01% 상승했다. 비트코인 평균 트랜잭션 당 수수료는 0.371 달러를 기록, 지난 주 대비 75% 상승했다. 이더리움은 0.133 달러를 기록, 지난 주 대비 31.68% 올랐다. 블록체인(Blockchain) 지갑 총 이용자 수는 3,357만 개를 기록했으며 이더리움 주소 수는 5,638만 개를 기록했다. 

깃허브 코드 활성도는 ELF가 가장 높았다. 금주 깃허브 코드 활성화 기준, ELF가 163 커밋(Commits)을 기록, 가장 활발한 개발 환경을 나타냈다. 커뮤니티 활성도 측면에서 보면 트론,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순서대로 페이스북 인기도 TOP3를 기록했다. 트위터에선 비트코인, 리플, 이더리움 순으로 TOP3를 차지했다.

금주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3 건의 펀드레이징(일정 규모 이상)이 진행됐다. 그중 블록체인 전문 보안 솔루션 제공 업체 싸이퍼트레이스(CipherTrace)가 1,500만 달러 규모의 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1. 지난 주 시장 현황

1.1 산업 전체 현황

금주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 주 대비 상승장을 연출, TOP 100 프로젝트 중 61개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2019년 2월 25일 기준 시총 TOP 100 프로젝트들의 시총은 1,228.99 억 달러로, 전주 대비 증가폭은 3.48%였다. 그중 VERI 프로젝트의 시총이 지난 주 대비 19.19% 감소하며 가장 큰 낙폭을 나타냈다. 시총 순위는 82위에서 99위까지 17 계단 하락했다. 반면, S4F 시총은 전주 대비 916.31%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시총 순위는 273위에서 56위까지 217 계단 상승했다. 금주 S4F, QASH(전주 대비 시총 34.77% 증가, 25일 기준 시총 90위), CENNZ(전주 대비 시총 20.42% 증가, 25일 기준 시총 97위) 총 3개의 프로젝트가 새롭게 TOP 100에 진입했다. 2월 25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3,810.43 달러로 지난 주 대비 3.64% 올랐다. 이더리움 가격은 135.85 달러로 지난 주 대비 2.08% 상승했다. 


표1.1 금주 TOP100 프로젝트 중 시세 변동폭 TOP5표 1.1.PNG


금주 암호화폐 시장의 24시간 거래량은 지난 주 대비 증가했다. 2019년 2월 25일 기준, 24시간 거래량은 지난 주에 비해 71.90% 증가했다. 금주 TOP 100 프로젝트 중 55개 프로젝트의 24시간 거래량이 20% 이상 늘었다. 증가폭이 가장 컸던 프로젝트는 ETP로 24시간 거래량이 지난 주에 비해 665.4% 증가했다. 반면 TOP 100 프로젝트 중 18개 프로젝트의 24시간 거래량이 20% 이상 감소했다. 그중 감소폭이 가장 컸던 프로젝트는 ARK로, 24시간 거래량이 지난 주에 비해 93.74% 줄었다.


그림1.1 TOP100 프로젝트 시총 및 24시간 거래량 주간 데이터 비교그림 1.1.PNG


금주 TOP10 프로젝트 시총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2월 25일 기준, TOP10 프로젝트의 시총은 1,085억 6,800만 달러로, 지난 주에 비해 3.52% 증가했다. 해당 10개 프로젝트의 시총은 암호화폐 전체 시총에서 85.06%를 차지, 지난 주 대비 큰 변동은 없었다. 2월 25일 기준 비트코인 점유율은 52.41%를 기록, 지난 주 대비 0.20%P 상승했다. 


그림1.2 금주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TOP10 프로젝트 시총/총 시총 점유율 분포그림 1.2.PNG


그림1.3 금주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TOP10 프로젝트 시총 점유율 주간 변화그림 1.3.PNG


1.2 테마별 현황

주요 테마 중 코인 테마 프로젝트들의 총 시총 증가폭이 가장 컸고, 플랫폼 테마 프로젝트들의 평균 시총 증가폭이 가장 컸다. 2019년 2월 25일 기준, TOP100 프로젝트 중 코인 테마 프로젝트들의 총 시가총액은 793억 2,300만 달러를 기록, 지난 주 대비 4.29% 증가했다. 플랫폼 테마 프로젝트들의 평균 시가 총액은 7억 9,800만 달러로, 지난 주 대비 6.4% 늘었다. 


그림1.4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TOP100 프로젝트 테마 별 시총 주간 변화 현황그림 1.4.PNG


그림1.5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TOP100 프로젝트 테마 별 평균 시총 주간 변화그림 1.5.PNG


금주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TOP100 프로젝트 중 테마 별 프로젝트 수량 분포는 큰 변화가 없었다. 2019년 2월 24일 기준, 암호화폐 시장 시총 TOP100 프로젝트 중 4대 테마(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코인, 실물자산 토큰화)의 시총 비중은 전주와 비슷한 양상을 유지했다. 그중 코인 테마의 시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시총의 64.54%를 점유했다.

그림1.6 TOP100 프로젝트 테마 별 수량 분포, 그림1.7 TOP100 프로젝트 테마 별 시총 점유율 분포그림 1.6과 1.7.PNG



2. 기술 성능 분석

2.1 암호화폐 채굴 난이도 및 수익 분석

금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해시파워는 지난 주 대비 증가했다. 2019년 2월 18일에서 24일까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평균 해시율은 44.38 EH/s를 기록, 지난 주 대비 4.77% 상승했다. 금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평균 해시율은 149.85 TH/S를 기록, 지난 주 대비 8.01% 상승했다. 


그림2.1 비트코인 해시율 변화 그래프그림 2.1.PNG


그림2.2 이더리움 해시율 변화 그래프그림 2.2.PNG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의 채굴 난이도는 지난주 대비 상승했다. 2월 25일까지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는 6.062 T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주 대비 0.39% 상승한 수치다. 금주 이더리움 네트워크 평균 채굴 난이도는 지난 주 대비 5.12% 상승한 2935 TH를 기록했다.


그림2.3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변화 추세 , 그림2.4 이더리움 채굴 난이도 변화 추세그림 2.3과 2.4.PNG


채굴풀 BTC.com 블록 채굴 점유율이 하락했으며, SlushPool의 채굴풀 점유율 순위가 상승했다. 이더리움 채굴풀들의 채굴 점유율은 전반적으로 이전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으며, 블록 생성 수는 소폭 증가했다. 지난 주 비트코인 블록 채굴 수는 997 개를 기록, 지난 주와 비교해 0.50% 감소했다. 그중 상위 5개 채굴풀은 BTC.com, Poolin,  AntPool, F2Pool, SlushPool로 각각 179개(17.95%), 139개(13.94%), 134개(13.44%), 105개(10.53%), 80개(8.02%)의 블록을 생성했다. 해시파워는 각각 7.74 EH/s, 6.01 EH/s, 5.79 EH/s, 4.54 EH/s, 3.46 EH/s를 기록했다. 

지난 주 이더리움 블록 채굴 수는 29,849 개로, 지난 주 대비 1.70% 증가했다. 그중 상위 5개 채굴풀은 Ethermine, SparkPool, Nanopool, F2pool_2, Miningpoolhub_1로 각각 8,470개(28.38%), 5,989개(20.06%), 3,974개(13.31%), 3,626개(12.15%), 1,730개(5.80%)의 블록을 생성했다.


그림2.5 비트코인 채굴풀 점유율 분포그림 2.5.PNG


그림2.6 이더리움 채굴풀 점유율 분포그림 2.6.PNG


2.2 활성도 분석

금주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는 전주 대비 감소했고, 블록 당 평균 거래 수는 변동이 없었다. 이더리움의 블록 크기는 전주 대비 증가했으며, 블록 당 평균 거래 수는 전주 대비 증가했다. Blockchain.info에 따르면, 2월 18일에서 2월 24일 사이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블록 당 평균 크기는 1.07MB를 기록, 지난 주 대비 2.73% 감소했다. 블록 당 평균 트랜잭션 수는 2,258 건으로 지난 주와 같았다.


그림2.7 비트코인 7일 기준 평균 블록 크기, 그림2.8 비트코인 7일 기준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그림 2.7과 2.8.PNG


Etherchain에 따르면, 금주 이더리움 블록 당 평균 크기는 24,267 bytes로 지난 주에 비해 9.84% 증가했다. 금주 블록 당 평균 거래 수는 123.05 건으로 지난 주 대비 12.94% 늘었다.


그림2.9 이더리움 블록 크기, 그림2.10 이더리움 블록당 트랜잭션 수그림 2.9와 2.10.PNG


금주 비트코인의 평균 미체결 거래량(pending transaction)은 지난 주 대비 21.26% 감소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량은 지난 주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24일까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7일 평균 미체결 거래는 8,575 건으로 전주 대비 21.26% 감소했다. 이더리움의 7일 평균 미체결 거래량은 30,353 건으로 최저치는 10,127 건, 최고치는 37,890 건을 기록했다. 


그림2.11 비트코인 미체결 거래량그림 2.11.PNG


그림2.12 이더리움 미체결 거래량그림 2.12.PNG


금주 비트코인 네트워크 및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Avg. transaction fee)는 지난주 대비 상승했다. 2019년 2월 24일 기준, 비트코인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는 0.371 달러를 기록, 지난 주 대비 75% 상승했다. 이더리움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는 0.133 달러를 기록해 지난 주 대비 31.68% 상승했다.


그림2.13 비트코인, 이더리움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그림 2.13.PNG


금주 이더리움 하루 평균 활성 채굴자(distinct miners) 수는 소폭 하락했다. 2019년 2월 18일부터 24일까지 이더리움 하루 평균 활성 채굴자 수는 56.14를 기록, 지난 주(57.1) 대비 1.68% 줄었다.


그림2.14 이더리움 하루 평균 활성 채굴자 수그림 2.14.PNG


트코인 및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노드 수는 지난 주에 비해 증가했다. 2019년 2월 24일 기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컨펌 노드 수는 10,556 개를 기록, 지난 주에 비해 3.59% 증가했다. 그중 미국이 2,637 개(점유율 24.98%), 독일이 2,015개(점유율 19.09%), 중국은 402개(점유율 3.81%)를 기록했다. 

2월 25일 기준 이더리움 노드 수는 8,716 개를 기록, 지난 주에 비해 1.94% 감소했다. 그중 미국이 3,585개(41.13%), 중국이 1,356개(15.56%), 캐나다는 614개(7.04%)를 기록했다. 


그림2.15 국가별 비트코인 노드 점유율그림 2.15.PNG


그림2.16 국가별 이더리움 노드 점유율그림 2.16.PNG


금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주소 수는 모두 증가했다. Blockchain.info에 따르면 2월 24일 기준 블록체인(blockchain) 지갑 이용자 수는 33,573,907 명이며 신규 이용자 수는 256,314 명을 기록했다. Etherchain에 따르면, 2월 24일 기준 이더리움 주소 수는 56,376,733 개며 신규 주소 수는 324,238 개를 기록했다.


그림2.17 비트코인 주소 수, 그림2.18 이더리움 주소 수그림 2.17과 2.18.PNG


지난 주 깃허브(Github) 코드 활성도가 가장 높은 프로젝트는 ELF가 차지했다. 2월 18일부터 24일까지 ELF는 깃허브 상에서 163 커밋(commits)을 기록했다.


그림2.19 깃허브 코드 활성도그림 2.19.PNG


2.3 커뮤니티 활성도 분석

2019년 2월 24일까지 페이스북 사이트 인기도 TOP3는 트론, 비트코인, 이더리움이었다. 페이스북 팔로워 수는 각각 99만 9,000명, 43만 5,000명, 15만 2,000명을 기록했다. 트위터 TOP3는 비트코인(92만 8,000명), 리플(91만 2,000명), 이더리움(44만 명)이 차지했다.


표2.1 프로젝트별 페이스북 인기도, 표2.2 프로젝트별 트위터 인기도표 2.1과 2.2.PNG


3. 블록체인 주간 뉴스

3.1 산업 응용

3.1.1. 

외신 "엔진 월렛, 갤럭시S10 블록체인 키스토어 채용"...샘플에 불과 반박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아시아 크립토 투데이의 보도를 인용해 엔진 월렛이 삼성 갤럭시S 10의 블록체인 키스토어를 지원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제공한 갤럭시S10 블록체인 키스토어 이미지에 엔진 월렛이 등장했다. 이미지는 엔진 월렛의 스크린 샷으로 ETH와 ENJ(엔진 코인), BAT(베이직 어탠션 토큰)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소식통을 인용해 "엔진 월렛이 갤럭시S10에 설치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3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와 관련해 한 업계 전문가는 "갤럭시S10의 블록체인 키스토어 사용 예제로 엔진 월렛이 차용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며 "큰 의미를 두기 힘들다"고 반박했다. 


3.2 국제 정책

3.2.1. 자금세탁방지기구 '가상통화취급 이행방안' 상반기 마련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프랑스 파리에서 총회를 열어 가상통화 취급업소에 대한 국제기준 등을 논의했다고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25일 밝혔다. FATF는 가상화폐를 '가상자산(Virtual Assets)'으로, 가상통화취급업소를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Virtual Assets Service Provider)'로 규정하면서 취급업소에 FATF의 자금세탁 관련 국제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이어 올해 6월까지 구체적 이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취급업소의 범위·사업모델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고객확인, 기록보관, 전신송금, STR(의심거래보고) 등의 적용방안을 담을 예정이다.

3.2.2. 태국 국회, 증권형 토큰 발행 및 거래 허용 증권법 개정안 통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태국 현지 언론 방콕포스트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태국 국회가 주식 및 채권과 같은 토큰화 증권의 발행을 합법화하는 증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태국 증권거래위원회는 개정 내용을 올해말까지 반영하게 될 예정이다. 또한 태국 SEC는 수개월내로 증권형 토큰 관련 세부 지침 및 규정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팁수다 다바라마라(Tipsuda Thavaramara) 태국 SEC 사무총장은 "토큰화 플랫폼을 위한 법적틀 마련을 위한 태국 정부의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3.2.3. 바레인 중앙은행, 암호화폐 거래 세부 방안 마련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바레인 중앙 은행(CBB)이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된 세부 규정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라이센스 발급, 관리 방안, 최저 등록 자본 규정, 리스크 관리, AML/CFT, 보안 등 세부적인 내용들이 포함됐다. 특히 중앙은행으로부터 암호화폐 자산 거래 제공 업체로 인정된 개인 또는 업체를 대상으로 한 거래 규정, 거래 전후 투명성 보장 방안, 시장 조작 방지 방안, 업계 이익 충돌 시 해소 방안 등 구체적인 규제 및 규정이 마련됐다. 이와 관련해 칼리드 하마드 규제 정책 담당자는 "지속적인 규제 및 정책 강화를 통해 글로벌 금융 혁신 국가로의 도약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3.2.4. 美 와이오밍주 하원의회, 2개 암호화폐 규제 법안 통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와이오밍주 하원의회가 최근 암호화폐 규제 관련 주요법안 HB0074 및 HB0185를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들은 와이오밍주를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 사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게 코인데스크 측의 설명이다. 앞서 지난주 와이오밍 주 하원의회는 기존 현행법 내에서 디지털 자산을 분류하고, 디지털 자산을 미국 통일상법전 내에서 자산으로 명시하는 내용이 담긴 블록체인 규제 법안 SF0125를 통과 시킨 바 있다.

3.2.5 日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발행 고려할 가치 있다"

19일 일본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관련 업무 내용이 담긴 '정보 통신 혁명·데이터 혁명 및 중앙은행 암호화폐' 문건을 공개했다. 해당 문건에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발행을 비롯해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의 성격과 특징을 소개하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해당 문건에서 일본 중앙은행은 결제 효율성과 유동성 위기 및 자본 중개 문제 등을 고려할때 중앙은행 주도 디지털 화폐 발행을 고려해 볼 만 하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은행 측은 "디지털 화폐 발생과 관련해 정식적인 논의가 이뤄진 것은 아니지만, 디지털 정보 통신이 향후 화폐의 범위를 확장 시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4. 발행시장 펀드레이징 현황

금주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3 건의 펀드레이징(일정 규모 이상)이 진행됐다. 그중 블록체인 전문 보안 솔루션 제공 업체 싸이퍼트레이스(CipherTrace)가 1,500만 달러 규모의 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표4.1 금주 펀드레이징 현황표 4.1.PNG


[출처]코인니스 https://kr.coinness.com/articles/22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