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

코인리포트

커뮤니티

'존버'만 생각하는 것은 '존모' 될 수 있다.

작성자 비트티비BITtv 조회수 2750 작성일 22.04.22  11:43
다양한 암호화폐 투자 전략 방법 
 
현재 암호화폐 자산은 웹3.0 시대에 다양한 분산형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유용하게 이용할 만 하다. 
디파이(Defi,탈중앙화금융)는 기존 금융 서비스의 한계를 해결하고,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탈중앙화,상호운용성,그리고 투명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핀테크 서비스로 대두 된다.
디파이는 앞으로 금융시스템의 진화를 이끌것이다 라는 사실은 이제 그 누구도 부인 할 수 없을것 이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다양한 수익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투자 전략

투자자들은 그들이 사들인 암호화폐를 다가오는 미래에 더 높은 가격에 팔 수 있기를 희망하며 매수하지만, 
암호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매우 크다.
그래서 현명한 투자자들은 장투와 단타를 별개로 생각하고 병행하여 그들의 수익률을 높인다.
 
 
트래이딩(Trading) 

암호화폐도 다른 자산들과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의 규칙을 따른다.
트레이드파이(전통금융서비스) 분야에서 이미 많은 분야에서 쌓은 트레이더들은 암호화폐를 역시 주식처럼 단기 시세 변동으로 수익을 내는 "액티브 트레이딩"
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을 더 이해하면 당일 매매방식인 데이 트레이딩 그리고 단 몇 분내로 자산을 사고파는 초단기 거래인 스캘핑 방식으로 가격이 저점을 연결한 
선에 닿으면 파는 레인지트레이딩 등의 기법을 디지털 자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덱 스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는 소극적 투자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으로,특정 지수의 수익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익률 달성을 목표로 한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인덱스 펀드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어느정도 경험과 실력을 갖춘 투자자라면 인덱스펀드에 가입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인덱스 펀드처럼 분산투자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반 대출

블록체인 기반 대출은 스마트컨트랙트 기능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출 심사나 승인이 가능하고 모든 대출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어 매우 빠르다. 
물론 그 시스템에 AI가 탑재 된다면 그 기능은 거의 혁명과 같은 일이다.
투자자는 스마트컨트랙트로 코인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기 때문에 이익을 실현할 수 있기에 가장 이상적인 모델이다.
또한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은 중재자 없이(수수료) 작동 하므로 전통금융 서비스의 정기 예금보다 훨씬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
이런 전략은 위험 회피형에게 적합하나 스마트컨트랙트의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노드 운영
 
블록체인은 참여자와 거래원장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를 "노드"라 칭한다.
블록체인은 이 수많은 노드들이 P2P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트랜젝션을 처리하는 시스템 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합의 알고리즘 설계는 매우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그 정확한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 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Pow(작업증명)과 Pos(지분증명) 방식이 사용된다.
Pow는 말 그대로 작업량에 비례한 채굴 보상을 주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연산능력이 높을수록 블록기록에 더 관여하고 보상이 늘어난다.
이렇게 해시파워를 높이기 위해 많은 컴퓨터파워가 필요하다.그래서 과도한 전력소모를 유발해서 에너지 낭비의 주된 원인이 야기된다.
 
Pos는 새로운 화폐의 생성으로 보상이 주어지는게 아니라 거래 수수료를 가져가는 방식인데 지분을 가진 소수에 의해 블록체인이 좌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노드를 운영해 검증자로 수익을 얻지만,다양성이 부족하고 네트워크 검증에 참여하는 이면의 복잡한 기술을 이해해야 한다.
 
스테이킹
 
스테이킹은 분산형거래소(DEX)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과정이다.
유동성 제공자들은 거래 수수료를 보상으로 받는다.
이 수익모델은 유동성풀에 유동성을 공급한 이후 예치한 자산의 가격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비영구적 손실로,쌍을 이룬 한 토큰의 가격이 변동해 상대 토큰의 
가치가 변하는 것이다.따라서
이 모델은 이익을 얻는 방법들이 매우 복잡 하므로 충분히 이해하고 무한 손실에 대한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여기서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전략은 유동성 마이닝(Liquidity Mining)이 있는데,이 전략은 투자자들이 자본 효율성과 보상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자한 한 풀에서 얻은 수익을 다른 풀로 가져오는 복잡한 채굴 전략을 전개하게 된다.
이런 유동송 마이닝 전략은 수학은 물론,거래와 관련된 엄청난 기술 지식이 요구된다.
 
에어드랍
 
기존 암호화폐 소유자들에게 무상으로 코인을 배분하여 지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식에서 말하는 무상증자와 같은 개념이다.
특히 지금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더 많은 자금을 유치하고,프로젝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할 때 그 토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에어드랍 전략을 사용하는 데,에어드랍을 받는 조건은 특정 토큰을 보유하거나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지갑 주소는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다만,이 전략은 소셜미디어에 게시되는 힌트를 끊임없이 찾아야 하기에 수익을 내는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에어드랍을 호스팅하는 프로토콜의 무결성을 신뢰 하기가 힘들다.
 
 
 
 
 
 

맨위로

주고받은 메일 2 도움말전체보기
내용

* 상업성 글이나 욕설등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음글 이더리움가상머신(EVM)플랫폼 트러스트 발표 <이오스(EOS)
이전글 웹3 대표 프로젝트 '브레이브'의 핵심, 베이직어텐션토큰(B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