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2월 19일 코인니스 가상화폐 아침 뉴스 브리핑
[블록체인 플랫폼 '스트리머', ETH 확장성 기술 '모노플라즈마' 공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스트리머(Streamr)가 최근 오픈소스 이더리움 확장성 개선 기술 모노플라즈마(Monoplasma)를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헨리 피칼라(Henri Pihkala) 스트리머(Streamr) 최고경영자(CEO)는 "해당 기술은 기존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으로 대두되는 플라즈마(Plasma)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됐으며, 일대다 결제(one-to-many payments)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부연했다.
[빔, 출시 전 일본 대기업 투자 유치]
일본 IT 기업 리크루트 그룹이 밈블윔블 프로토콜 기반 프라이버시 토큰 빔(Beam)에 투자했다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투자는 빔 출시 전에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리크루트 그룹은 일본 최대 취업사이트를 보유하고 있는 상장 기업으로, 지난해 매출 18조 원을 기록했다. 빔 측은 해당 투자를 통해 일본 지역 시장 확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美 정부 법률 변호사 "인기 암호화폐 다수, 설계부터 '미흡'...투자 주의"]
미국 정부 법률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가 최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현재 활발하게 거래되는 토큰 대부분이 2017년 ICO 거품이 꺼지기 전 투기를 끌어들이기 위해 서둘러 설계된 미흡한 형태"라며 "이미 많은 토큰이 법적, 공학적, 경제학적 실패로 끝났다. 본인이 무엇을 거래하고 있는지 확실히 알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인베이스 연계 BTC 직불카드 서비스 중단]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기반의 직불카드 시프트비트코인(ShiftBitcoin)이 오는 4월 11일 서비스를 중단한다. 시프트비트코인 직불카드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이용자들의 BTC를 통한 결제를 지원해왔다. 해당 카드 서비스는 지난 2015년 11월 출시됐다. 해당 업체는 서비스 중단 이유를 밝히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SNS에서는 "수요 부족 때문에 코인베이스 측에서 지원을 중단한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EOS 스캐터, 인디게임 이식 추진...댑 생태계 변화 전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비트코인뉴스(Thebitcoinnews)에 따르면, 이오스 지갑 스캐터(Scatter)가 최근 다양한 인디게임을 EOS 네트워크로 이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스팀(steam) 등 플랫폼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게임 개발자를 끌어들이고, 아이템 거래 등이 가능한 게임을 통해 겜블링이 주를 이루는 댑(Dapp) 생태계를 변화시키겠다는 설명이다.
[비트메인, 2세대 7nm 칩셋 공개]
세계 최대 채굴장비 제조업체 비트메인이 오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세대 7nm 칩셋 'BM1397'를 발표했다. BM1397은 전 세대 제품과 비교해 에너지 효율이 28.6% 향상됐으며, 전반적인 성능이 안정화됐다는 게 비트메인의 설명이다. BM1397은 SHA256 알고리즘을 지원하며, BTC, BCH 등 암호화폐 채굴에 사용이 가능하다. 해당 칩셋은 향후 출시될 SHA256 알고리즘 기반 채굴 장비인 앤트마이너 S17과 T17에 도입될 예정이다.
[와이스 레이팅스 "암호화폐 상승 전망...기관투자자 진입 고려해야"]
암호화폐 평가를 제공하는 신용평가 기관 와이스 레이팅스가 투자 컨설팅 기관인 캠브리지어소시에이츠(Cambridge Associates)를 인용해 "기관투자자는 암호화폐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며 "암호화폐는 몇년 안에 현재 가격의 수배에 달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출처]코인니스 https://kr.coinness.com/news/227252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