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제2의 비트코인 채굴지는 미국? 일론 머스크의 빅픽쳐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에서 쫓겨난 채굴자들이 미국 텍사스로 몰릴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5일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중국은 현재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자의 절반 이상을 쫓아내고 있다며 이들 중 상당수가 텍사스로 향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은 지난달 류허(劉鶴) 중국 국무원 부총리의 발표 이후 암호화폐 채굴, 거래에 단속의 고삐를 단단히 쥐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전 세계 비트코인의 65~75%가 중국에서 채굴되는 것으로 파악 하고 있답니다.
CNBC는 중국 정부는 지난 5월부터 비트코인 채굴 및 거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이를 위대한 채굴 이주(The Great Mining Migration)라고 부르고 있다면서 채굴자의 중국탈출은 현재 진행 중이며 이는 텍사스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게임체인저'는 어떤 일에서 결과나 흐름의 판도를 뒤바꿔 놓을 만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사건, 제품 등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은 암호화폐 채굴에 대량의 전기가 사용되고 이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등 환경오염이 발생한다는 점을 문제로 삼고 있지만 텍사스는 풍부한 태양열 및 풍력, 규제 없는 시장, 암호화폐에 친화적인 정치적 태도 등을 앞세워 암호화폐 채굴자들에게 적합한 곳 입니다. 한 마디로, 중국 정부가 지적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곳이 텍사스란 얘기 입니다.
또한, 텍사스는 와이오밍주, 마이애미 등과 함께 미국 내 암호화폐 성지로 불리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테슬라 기가 팩토리 규모를 비교한 사진
머스크가 텍사스에 스타베이스 신도시를 짓는이유, 테슬라 5번째 기가팩토리를 텍사스로 정한 이유는 텍사스가 비트코인 마이닝부터, 세금혜택, 전기세, 암호화폐 규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저번에 머스크가 비트코인 채굴 환경문제를 들고 나온것은 테슬라사의 ESG등급을 우려해서 입니다. 이건 기업의 ESG등급 평가의 중요성 때문인데
테슬라는 전기차 기업임에도 의외로 ESG점수가 낮습니다.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에서만 높은 등급을 얻었고, FTSE(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 S&P(스탠다드앤푸어스)등으로 부터는 부정적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사회책임(S) 점수가 낮고 환경(E) 점수도 좋지 못해서 입니다.
ESG는 현재 국가적으로 중요한 등급이고 이를 유지해야만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인식이 되면서 투자자가 몰립니다. 즉 ESG는 테슬라 주식상승에 중요하기 때문에 머스크가 계속해서 비트코인 채굴에 환경문제를 부각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머스크는 텍사스를 선택함으로써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ESG 등급을 높일 수 있습니다.(텍사스는 비트코인 채굴을 친환경으로 가능하기 때문, 또한 테슬라 ESS배터리 공장도 텍사스에 짓기 때문)
정리하자면 머스크는 그냥 비트코인을 산게 아닙니다. 비트코인을 버릴 생각도 없고 비트코인을 친환경 채굴로 만들 것이고 비트코인을 이용하여 자신의 회사와 도지코인을 키울 것으로 생각 됩니다.
머스크는 비트코인이 이 시장의 기축이고 국가적으로 수용될 디지털 금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비트코인 찬양하자는게 아니고 이 시장은 여러 메이저 코인들이 서로 협업해서 돌아가는 생태계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꾸준한 관점 공유나 투자에 관한 분석, 뉴스 정보등을 얻어보고 싶으시면
위의 링크를 통해 무료 체험부터 시작해 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