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

코인리포트

커뮤니티

암호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직불카드에 대해 알아봅니다.

작성자 모두의지갑 조회수 3888 작성일 20.03.24  20:39

암호자산(Crypto Asset)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직불카드(Debit card)입니다. 간단히 직불카드의 특징을 살펴보면, 직불카드는 체크카드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카드 가맹점에서 가능한 신용카드, 체크카드와 달리 직불카드는 지정된 가맹점에서 사용합니다. 직불카드의 장점은 은행망을 사용하여 가맹점 수수료가 보다 저렴합니다.[1]

 

1585049801_0_d4d6809e820bb345dd97c3248688cb02.jpg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비교 자료]


미국의 대표적인 암호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직불카드를 출시하고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비자와 제휴를 하였습니다. 지원하는 암호자산으로는 비트코인(BTC), 이더(ETH), 라이트코인(LTC), 비트코인캐시(BCH)에서 최근 XRP, 베이직 어텐션 토큰(BAT), 루멘스(XLM)를 지원합니다.[2]


또한 구글페이와 연동되어 영국과 아일랜드,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 유럽에서도 사용이 가능 해졌습니다.

                                    1585049822_0_de3c0be6ccd3d604e0418ae5533e76ee.png

          [코인베이스는 비자 직불카드를 출시했습니다. https://www.coinbase.com/card ]


이미 2014년 영국에는 블록체인 기업 와이렉스가 비자와 제휴한 직불카드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지원하는 암호자산으로는 비트코인(BTC), 라이트코인(LTC), 이더리움(ETH), 리플(XRP)을 지원하며, 파운드(GBP), 유로(EUR), 호주 달러(AUD), 캐나다달러(CAD), 프랑(CHF), 크로나(CZK), 홍콩 달러(HKD), (JPY), 싱가포르 달러(SGD)로 구매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3]


1585049883_0_96b89409f0f31ac030f5d0af8a184dba.png

                               [영국의 와이렉스 직불카드는 비자와 제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 직불카드 서비스가 가능할까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해외 직불카드는 사용할 수는 있지만 수수료가 비싸서 사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미국 센트라 카드의 경우 수수료 외에 환전 비용까지 더해져 20%이상 비싼 사용료를 낼 수 있습니다.[4]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기업 테라에서, 차이카드를 2020년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5] 차이카드는 BC카드와 제휴하여 국내 대부분의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티몬과 제휴 되어 차이 암호자산을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것입니다.


1585049906_0_a193d8da8876d4f33bafdba238d7129f.jpg

                               [차이카드는 BC카드와 티몬과 제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까지 암호자산 대중화를 위한 직불카드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직불카드 서비스에는 단점은 없을까요? 국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넘어야할 산이 많이 있습니다.


첫번째 회원 및 가맹점 확보가 중요합니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백화점, 쇼핑몰, 인터넷 등에서 손쉽게 회원을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직불카드는 해당 서비스 홈페이지에서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인터넷 커뮤니티와 인터넷 쇼핑몰에서 가입이 가능하면 좋을 것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편의점의 ATM 기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불카드는 은행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은행망과 연결된 카드 단말기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앞에 표에서 살펴본 것처럼 신용카드는 200만 가맹점을 가지고 있지만, 직불카드는 48만 가맹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화점, 쇼핑몰 및 대형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동네 음식점이나 시장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행망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Open API(개방형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직불카드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방에 노력해야 합니다.


두번째 고객 서비스 차별화가 필요합니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항공 마일리지 서비스의 경우 카드 사용 금액에 따라 일정 마일리지를 적립해 줍니다. 또한 연계 서비스로, 영화, 공연, 호텔, 골프 등 다양한 고객 서비스로 멤버십의 차별성을 제공 합니다.(멤버십에 따라 가입비가 다릅니다)

아직 직불카드는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기능적인 서비스에 머물고 있습니다. 안전한 암호자산 저장 및 관리, 손쉬운 자산 송금 및 수금, 다양한 암호자산 지원 등입니다.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는 앞서 말씀드린 항공 마일리지 처럼, 직불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뷰티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강남의 성형외과나 피부과에 뷰티 마일리지를 할인이나 추가 서비스(프락셀 10회인 경우 12회 적용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골프 서비스라면, 골프 예약 시 예약금액을 마일리지로 할인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받기 원한다면 그에 맞는 멤버십, 예를 들면 1만코인을 연회비로 지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번째 다양한 인센티브 강화가 있어야 합니다.

국내에서는 체크카드나 직불카드를 사용하면 연간 급여의 15% 초과하는 사용분에 대해서 15% 세금 공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암호자산과 연계된 직불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암호자산 서비스 업체들은 자신의 코인이나 토큰을 사용하면 1~20% 환급을 통해 인센티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센티브 서비스는 사용량에 따른 서비스로 충분한 사용처가 준비되지 않은 현실에서 적절한 서비스라고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할인 쿠폰이나 다양한 제품 구매(공동구매 또는 플래시딜 등)을 제공하여 서비스 외연을 확대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고 봅니다.


네번째 마지막으로 국내 핀테크 규제입니다.

국내 여신금융법에 의하면 200억 이상 자본금을 필요로 합니다. 충분한 출자 능력과 건전한 재무상태를 필요로 합니다.[6] 이러한 어려운 규제요건은 과거 신용카드 사태에서 발생된 과잉신용공여로 나타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지만 암호자산과 같은 핀테크 기업에게는 높은 제도적 벽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암호자산을 실생활에서 보다 많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직불카드는 필연적으로 가져가야 할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년 다양한 블록체인과 암호자산 서비스를 볼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참고 링크

[1] 신용,직불카드 뭐가 다를까?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02154.html

[2] 코인베이스 직불카드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0529

[3] 소프트뱅크 직불카드 출시 https://tvcc.kr/article/view/5558  

[4] 한국 시장 사용 가능할까 https://www.venturesquare.net/758738

[5] 차이카드 2020년 출시 http://www.bloter.net/archives/355685

[6] 여신전문법 개정의 기본 방향, 한국금융연구원 금주의 논단

내용

* 상업성 글이나 욕설등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음글 POS(지분증명)는 축복인가? 재앙인가? (부제 이더리움 2.0)
이전글 비트베리 지갑 대신 사용할 지갑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