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

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쓰러지는 중소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도 매각설 ‘솔솔’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820 작성일 20.05.18  17:42

blur-1853262_640

 

중소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폐업이 이어지고 있다. 올 3월 국회를 통과한 ‘특금법 개정안’ 준수가 사실상 어렵다보고 사업 정리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금법 개정안은 내년 3월 공식 시행을 앞두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4대 거래소 코인원이 매각설에 휩싸였다. 만약 매각이 실현된다면 업비트와 빗썸 등 양대 거래소의 영향력이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다. 여기에 대기업과 금융사 등 새로운 경쟁자의 시장 합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난립하던 거래소, 폐업 대열 합류

최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코인피닛이 서비스 운영을 공식 종료했다. 코인피닛은 폐업 사유를 두고 “거듭된 적자와 코로나19 사태로 자금 융통까지 힘들어지는 등 최근 경영 상황이 급격히 나빠지게 됐다”며 “현 상황에 특금법 기준을 맞추기 어려워 대내외적으로 충분히 협의한 결과 사업 종료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거래소 넥시빗도 지난 6일 서비스를 공식 종료했다. 넥시빗 역시 경영난을 주된 이유로 폐업을 선언했다. 앞서 비트릭스와 코블릭, 제트파이넥스 등도 비슷한 이유를 들며 문을 닫았다.

지난해는 하반기부터 나인빗, 뉴비트, 루빗, 래빗, 비트서울, 코인네스트, 올스타빗 등 40여곳의 거래소가 줄줄이 폐업했다. 한때 200여개에 이를 만큼 난립이 심각한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시장 침체와 특금법 개정안 등과 맞물리면서 폐업 대열에 합류하는 모습이다.

몇몇 거래소들은 거래소 문만 열어놓은 개점휴업 상태다. 코인제스트의 경우 지난해 전종희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원화 출금 정지를 조속히 풀겠다 약속했지만 원화 출금을 지속적으로 막아 논란이 일었다. 최근에는 원화마켓을 아예 폐쇄했다. 가상자산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최근 코인제스트 거래량은 사실상 0원에 가까운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특금법 개정안은 사법기관과의 공조를 기반으로 KYC(고객신원확인), CDD(고객주의의무) 등 다양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며 “사실상 자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 그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해온 영세한 거래소들이 시장에서 강제 퇴출당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코인원 매각설, 어려워진 시장 환경 대변 

코인원


최근 코인원의 최대주주인 고위드(전 데일리금융그룹)가 IPO(기업공개) 준비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인원의 매각이 화두에 올랐다. 고위드는 성공적인 IPO를 위해 자회사 매각과 신사업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자회사 매각은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적자 구조가 심화된 자회사를 시장에 내놓겠단 의지다.

지난해 기준 고위드의 순손실은 285억원이며 자회사로부터 발생한 순손실은 299억원이다. 특히 코인원은 지난해 12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고위드의 총 지분법 손익 중 47%를 차지했다. 고위드 손실에 절반 가까이 차지하면서 매각 대상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코인원은 지난해도 매각설이 제기됐다. 세종텔레콤과 예스24 등 물망에 오를 만큼 매각이 급물살을 타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인수액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매각이 결렬됐다는 후문이다.

코인원 관계자는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기업들이 투자를 유치하는 건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아마 그 과정에서 매각설이 나오는 것 같다”며 “좋은 대상자가 나오면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코인원 입장에선 성공적인 매각을 원하겠지만 현재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좋지 못한 상황이라 적합한 매각 대상자를 찾기가 힘들 것”이라며 “현재 코빗도 어려운 상태고 몇몇 건실한 중소 거래소들마저 경영 지속성을 두고 고민에 들어간 상태로 코인원의 매각설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시장 환경이 업비트와 빗썸의 양강 체계로 더욱 굳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기업-금융권, 시장 진출 물밑 움직임

대기업들의 관련 시장 진출도 관심사다. 독자적인 진출보다 금융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간접적인 시장 진출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다.  

 

2019120801000565500025151
지난해 12월 출범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니셜 DID 연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한 ‘2019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의 참가사인 SK텔레콤, LG유플러스,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코스콤, KT, 삼성전자, 현대카드, BC카드, 신한은행, NH농협은행 등으로 구성됐다.(사진=SK텔레콤 제공)

 

각종 블록체인 관련 특허를 보유한 삼성SDS의 경우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 유니버셜’에 역량을 모으는 중이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에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 ‘삼성 블록체인 월렛’을 탑재하며 블록체인 생태계 지원 사격에 나서는 만큼 그룹사와의 전방위 협력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자체 블록체인 서비스 ‘모나체인’을 선보인 LG CNS도 모나체인을 이용한 블록체인 서비스 구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금융권은 관련 시장에 가장 적극적이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니셜 DID 연합’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한 ‘2019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의 참가사인 SK텔레콤, LG유플러스,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코스콤, KT, 삼성전자, 현대카드, BC카드, 신한은행, NH농협은행 등으로 구성됐다.

국내 대표 금융사들과 ICT사들이 모여 각자의 장점을 극대화해 편리하고 안전한 전자증명 서비스 ‘이니셜’을 선보이는 등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전자증명 시장을 선도하겠단 청사진이다.

업계 일각에선 특금법 시행 이후 은행마다 가상자산을 이용한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란 견해다. 이미 KB국민은행은 지난 1월 특허청에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 ‘KBDAC’ 상표를 출원하고 가상자산 커스터디(수탁) 서비스와 자산운용 대행 등을 준비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가상 자산 거래소들에게 금융권의 시장 진출은 매우 큰 위협이 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파트너사와 결합한 합종연횡이 일어날 수 있다”며 “당분간 특금법 개정안을 둘러싼 물밑 움직임이 분주하게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우 기자 ksw@viva100.com




[출처]브릿지경제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0517010004402

내용

* 상업성 글이나 욕설등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음글 슈퍼컴퓨터 해킹해 몰래 암호화폐 채굴한 간 큰 해커
이전글 코인크루 커뮤니티 볼런티어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