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서울시, 행정서비스에 블록체인 결합 속도낸다
3차년도 '블록체인 도시 서울' 용역 입찰
공공서비스, 온라인 자격검증으로 전환
"시민 밀착형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발굴"[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올해 3차년도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구축에 나선다. 지난 2018년 발표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 일환으로 올해 총 3개 신규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올해 사업엔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자격검증이나 모바일 통합인증 등 서류없이 서울시의 행정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결합하는 사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블록체인 온라인 자격검증 강화서울시가 올해 3차년도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구축을 위한 용역 입찰을 오는 12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20 블록체인 기반 행정서비스 구축'을 위한 용역 입찰을 오는 12일까지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입찰이 마무리되면 이달 중 새로운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개발 작업이 본격 시작될 예정이다. 해당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4억6000만원 규모다.
올해 시에서 개발하는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는 △서류없는 온라인 자격검증 △서울시민카드 통합 인증 확대 △온라인 증명서 위변조 방지다. 현재 서울시에서 발급하고 있는 자격증이나 증명서를 전자문서화하고, 이를 행정안전부 전자증명서 발급·유통 시스템과 연계하는 과제도 포함됐다.
서울시민카드는 블록체인 기반 사설인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지난해 2차년도 사업을 통해 구축됐다. 현재 개인 및 법인인증 시스템을 연동하는 2차 작업이 진행 중이다. 시는 올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4개 앱과 민간 서비스 3종에 서울시민카드 통합 인증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특히 공공예약 요금 감면, 청년월세 등 지자체 서비스 신청시 자격검증을 위해 제출하던 각종 증빙서류들도 이번 3차년도 사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자격검증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블록체인 융복합 서비스 발굴
서울시는 기존 행정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시민 시정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지난 2018년부터 블록체인을 적극 도입해 왔다.
지난해 모바일 투표 서비스인 '엠보팅'과 장안평 자동차 사업자조합의 중고차 매매에 블록체인을 접목해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저장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올 3월엔 청년수당 신청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 대상자 거주지, 생활수급정보, 실업급여 정보, 타사업 참여여부 등 조회 내용을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히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달 블록체인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해 블록체인 기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융복합 서비스 발굴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선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 신원확인 서비스(Decentralized ID, DID)와 전자화폐 등 민간 경제 중심 콘텐츠들이 제시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블록체인 융복합서비스나 DID 관련 사업을 모색하는 단계"라며 "오는 20202년 사업종료 기간까지 다양한 시민 밀착형 블록체인 서비스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서울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중고차 #블록체인 #투표 #서울시민카드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출처]파이낸셜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421639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