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대학 연구실서 암호화폐 채굴 '웬말'
국립 경상대학교 대학원 수료 연구생 2명이 대학 연구장비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채굴해 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경상대 대학본부는 지난해 11월 투서를 받아 감사한 결과, 연구생 2명이 지난 2016년 5월부터 2018년 11월 중순까지 2년 6개월 동안 ㄱ교수 실험실에서 연구장비를 이용해 암호화폐 채굴프로그램을 가동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암호화폐 중 하나인 비트코인을 채굴하려고 실험실 컴퓨터 13대를 이용했으며, 개인 컴퓨터 4대도 동원했다.
경상대는 이들의 대학원 수료 연구생 신분을 박탈하고, 업무방해와 절도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또 전기요금 570만 원 변상 고지서를 발부했고, 이들은 납부했다. 지도교수인 ㄱ교수에게는 관리감독 소홀을 이유로 경고 조치했다.
![]() |
경상대 관계자는 "전기요금을 정확하게 산출하기는 어려웠다. 채굴프로그램 가동으로 실험실 연구장비의 운영속도를 33% 방해한 것으로 판단해 변상액을 추산했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를 채굴하려면 고성능 컴퓨터와 그래픽카드, 상시 냉방시설이 필요해 전기소비량이 급증한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암호화폐 투자 열풍이 불 때, 연구기관의 고성능 컴퓨터를 가상화폐 채굴에 도용하려는 시도가 종종 발각됐다.
국내에서는 전기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산업단지의 공장에서 암호화폐를 채굴하다 적발된 사건들이 있었다. 지난 2017년 강원도 한 대학 교직원이 강의실에 채굴기를 설치했다 해임됐다.
경상대는 이번 사건 이후 국내외 암호화폐 채굴사이트 14개에 대한 학내 접속을 차단했다. 특히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상시 냉방시설이 있거나 밀집 IP(인터넷에서 해당 컴퓨터의 주소)를 쓰는 연구실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또 모든 부서에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일상점검과 함께 교육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진주경찰서는 고발된 2명을 상대로 사건을 수사하고 있으며, 이들이 비트코인을 얼마나 채굴해 수익을 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암호화폐 채굴 = 현재 금융거래 대부분은 은행이라는 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런 기관 없이 시스템에 참여하는 사람들끼리 공동으로 거래정보를 기록, 검증, 보관하는 '분산장부' 기술을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이 블록체인에 참여할 때 보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로 암호화폐(가상화폐)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비트코인이다. PC로 블록체인에 참여해서 암호화폐를 얻는 것을 채굴이라 한다. 암호화폐 가치는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매겨진다.
[출처]경남도민일보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88244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