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잊혀졌던 블록체인 기술, 코로나 해결사로 부활하나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557
작성일 20.04.09 08:24

'미파사(Mipasa)' 컨소시엄.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코로나19 데이터 허브 구축 팀이다. 미파사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코로나19 관련 진단·치료·확산 데이터를 검증하고 관리하겠다는 프로젝트다. 가상화폐 투기와 지하경제 플랫폼으로 전락하는 듯했던 블록체인 기술이 미파사로 가치를 재평가 받을 수 있을까.
무슨 일이야?
· 미파사엔 WHO 같은 국제기구 외에도, 코로나19 해법을 찾으려는 당사자들이 뛰어들었다. 미국·중국·유럽연합(EU)의 보건당국(질병예방통제센터), 홍콩·이스라엘·캐나다 정부, 그리고 미국의 기술 두뇌들이다. IBM,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IT 기업과 존스홉킨스대학이 컨소시엄에 들어갔다.
왜 중요해?
· 조나단 레비 하세라 대표(CEO)는 "코로나19 확산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다는 점"이라며 "미파사 데이터 허브는 코로나19 연구의 출발점이자 정보의 관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이다. 그동안 코로나19 관련 정보는 각국 정부 및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 공유됐다. 정부가 입력한 데이터의 오류를 발견하기도,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도 불가능했다. 하지만 데이터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블록체인은 모든 데이터가 네트워크 내에 분산된 각 노드(개인)에 보관되고 실시간 동기화되기 때문에 누군가 위변조하는 게 불가능하다.
·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암호화된 '보안성'도 장점이다. 각국 정부가 고민하는 전염병 추적과 개인정보보호 간 딜레마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 미파사 프로젝트는 홈페이지에서 "잘못된 정보와 두려움 때문에 프라이버시(사생활)가 침해되거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극단적인 조치가 나오고 있다"며 "금융에서 쓰이던 블록체인의 암호화 기술로 개인정보를 완벽하게 보호하면서도 전염병을 민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파사, 그래서 어떻게 가능해?
· 코로나19 검사를 받는 사람의 데이터, 환자 치료 기록, 건강 상태, 모니터링 상황 등도 암호화 되어 기록된다. 일부 정부의 환자 축소·은폐 의혹을 막을 수도 있다.
· 허브에 모인 데이터는 글로벌 공동연구 자산이 될 수도 있다. 검증된 데이터와 분석 툴이 공개되면 전 세계 정부, 기업, 의료기관 등이 코로나19 사례를 연구할 수 있다. 레비 대표는 "세계적 난제를 풀고자 모두가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큰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잘 될까?
· 김진환 영산대 블록체인연구소 소장은 "환자 정보 공유에 민감한 의료기관들이 한번 입력하고 나면 절대 수정할 수 없는 '불가역적인' 블록체인에 얼마나 참여할지는 의문이다. 각국 정부도 득실에 따라 솔직한 정보 공개를 꺼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더 알면 좋은 것
·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디지털금융업무팀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알리바바의 블록체인(앤트-듀오 체인)이 자금난을 겪는 소규모 기업의 신속한 금융 대출을 가능하게 했다"고 전했다. 소규모 기업과 대기업의 거래기록을 신용평가의 근거로 삼아 대출 심사를 몇 초만에 끝낸 것.
· 코로나19 관련 기부금 사용처 추적에도 블록체인이 활용 중이다. 중국 블록체인 스타트업(하이퍼체인)은 의료장비·마스크 등 코로나19 관련 기부품의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 코로나19 가짜 뉴스 추적에도 활용된다. 이탈리아 최대 뉴스통신사 안사(ANSA)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 퍼지는 뉴스들의 출처와 수정 이력 등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가짜 뉴스 추적을 시작했다.
정원엽 기자 jung.wonyeob@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2991448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