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코인게코 "암호화폐거래소, 업계 M&A 주도…美 코인베이스, 작년 최다"
![]() |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다양한 인수합병을 통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AMB크립토는 암호화폐 분석사이트 코인게코(CoinGecko) 보고서를 인용해 작년 한 해 동안 암호화폐 산업에서 코인베이스와 크라켄, 바이낸스 거래소가 가장 많은 인수·합병을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13개로 가장 많았고, 크라켄과 몰타 소재 바이낸스가 각각 8개, 4개 인수로 그 뒤를 이었다.
인수합병 대상기업 중 44%는 분석 기술, 블록 익스플로러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부문에 해당됐다. 그 외 거래소와 커스티디 월렛 서비스가 각각 20%, 투자, 중개 등 금융서비스는 1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작년 인수합병 트렌드 가운데 가장 흥미로운 부문으로 '파생상품 거래소'를 지목했다.
작년 2월 크라켄은 비트코인, 비트코인캐시, 이더리움, 리플, 라이트코인의 선물 거래를 지원하는 런던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퍼실리티(Crypto Facilities)’를 인수했다. 그해 9월 바이낸스도 세이셸 소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파생상품 거래소인 JEX를 인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는 전략적 투자 부문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코인베이스는 스마트컨트랙트 증권 플랫폼 '세토라(Certora)', 디지털 자산 발행 플랫폼 '토큰소프트(TokenSoft)', 블록체인 컴플라이언스 플랫폼 '시큐리타이즈' 등 51개 기업에 투자했다.
바이낸스는 산하 벤처투자 부문인 '바이낸스랩'을 통해 투자를 진행했다.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송금, 거래 프로젝트에 투자했고, 아시아와 북미, 유럽 지역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애플리케이션, 월렛, 상호운영성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했다.
작년 최대 인수합병 계약은 서클의 폴로닉스(Poloniex) 인수 건으로 4억 달러에 달한다. 코인베이스는 1억2000만 달러에 언닷컴, 5500만달러에 자포를 인수하며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트론이 비트토렌트 인수로 1억26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소수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전체 비트코인(BTC)의 가격 흐름을 주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암호화폐 조사기관 디지털애셋리서치(Digital Asset Research)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낸스 ▲리퀴드 ▲후오비 ▲코인베이스 ▲힛빗 ▲빗스탬프 ▲오케이엑스 ▲제미니 ▲비트파이넥스 ▲비트플라이어 등 암호화폐 거래소 10개가 비트코인 가격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거래소는 다른 거래소보다 먼저 가격 반영이 이뤄졌다. 보고서는 "10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을 대부분 결정한다. 여기서 발생한 움직임이 다른 거래소로 이동하는 것"이라며 "비트멕스 선물 상품이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확인됐지만 이는 더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애셋리서치 회장 더그 슈벤크는 "가격을 결정하는 소수의 거래소만 봐도 전반적인 시장 흐름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코인리더스 http://www.coinreaders.com/6470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