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꼬리를 신나게 흔드는 중? 캐스트윗(Castweet)의 꼬리가 가질 의미
블록체인기반의 인공지능이 결합된
멀티 브로드캐스트 프로젝트 캐스트윗 (Castweet)
최근 이 캐스트윗(Castweet)의 차트 움직임이
꽤나 흥미롭고 다이나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캐스트윗(Castweet)의 포블게이트 상장 후 차트
차트를 보면 대략 윗꼬리 3에 아랫꼬리 1 정도의 비율로
아주 예사롭지 않은 꼬리의 흔들림(Shaking)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사실 어딜가나 꼬리를 흔드는 데에는 그 이유라는 게 존재하는데,
강아지들은 기분이 좋을 때 꼬리를 신나게 흔들고
고양이들은 자기 몸이 커 보이고 싶을 때 꼬리를 신나게 흔들고
돼지가 꼬리를 흔드는 이유는 꼬리가 돼지를 흔들 순 없..
ㅈㅅ..
아무튼 차트라는 것이
어떤 이들에게는 수익실현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도구이기도 하고
어떤 이들에게는 참고사항 정도로 둘러보는 보조지표이기도 하고
어떤 이들에게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 그저 막대기 그림이기도 한데
사실 암호화폐라는 것이 지니는 핵심 속성 중 하나가 '변동성'이고
이를 만들어내는 "거래"라는 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차트의 흐름에 전 재산을 걸 필요까진 없어도
차트를 통해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구나 정도의 참고서 정도로써의 모니터링은
어느정도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참고서 역할로써는 필요할 수 있는 차트의 흐름
그래서 앞서 언급한 캐스트윗의 신나게 흔들리는 꼬리가 가지는 의미는
어떠한 이벤트적인 요소나 프로젝트적 참고사항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그냥 세력들의 신나는 손가락 흔들기일수도 있을텐데요.
사실 이는 정답을 알 수는 없는 부분이라
어떤 쪽으로도 100% 확신을 가지고 판단을 할 수는 없습니다.
앞서 언급했다 시피 차트는 "참고서"로써의 "참고용도"이니까요.
다만 이미 윗3 아래1 비율의 꼬리흔들기가 생겨난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캐스트윗(Castweet)을 하나의 사례로 살펴보면서,
아래로 축 처진 꼬리가 되어버릴 것인지
아니면 캐스트윗꼬리양봉이 될 것인지
그리고 그 과정 속에 프로젝트는 과연 어떤 일들을 만들어가고 있는지
다이나믹한 움직임에 대해 모니터링을 해 보는 것도
업계를 이해하는 데 조금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윗꼬리가 자주 나온다고 섣부르게 투자나 진입을 하는 건
내 입가에 아랫꼬리가 생기는 지름길이라는 점을
항상 생각해야겠습니다.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