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커뮤니티
“블록체인·암호자산은 미래기술 핵심… 규제 개혁 절실”
2019 미래 블록체인·암호자산 포럼
블록체인과 암호자산이 산업의 틀을 바꾸고 있다. 기업은 물론 지방자치단체들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블록체인·암호자산 기술을 접목해 금융·유통·물류 등에 활용하거나 실생활 적용을 준비한다. 전문가들은 기존 산업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면서도 과감한 규제 혁신으로 건강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과거 방식과 기술력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국민일보와 국회 정무위원회 민병두 위원장, 암호자산거래소 ‘베론’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2019 미래 블록체인·암호자산 포럼’을 개최했다. 블록체인·암호자산의 활용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정·관·재계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공동으로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검증·기록·분산·저장할 수 있다. 암호자산은 암호화폐나 가상화폐, 디지털통화 등을 통칭하는 용어다.
민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자산의 디지털화는 암호자산이든 중앙은행의 법화(법정 통화)든 막을 수 없는 추세이지만 현재 여러 규제 때문에 활로가 막혀 있는 상태”라면서 “블록체인·암호자산 입법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변재운 국민일보 사장은 “비트코인으로 촉발된 광기, 거품이 꺼지면서 지금은 진짜 블록체인의 가치가 드러나는 시기”라며 “우리나라가 블록체인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과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다카하시 요시미 베론 대표이사는 “한국에는 블록체인 관련 인재와 기업이 많지만 규제가 너무 많아 해외로 나가 회사를 설립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정책 당국과 기업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샌드박스’(규제유예 제도) 방식 등을 활성화해 관련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블록체인을 실제 활용하는 좋은 사례를 발굴해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실행하면서 부정적 인식을 바꿔야 한다. (이 같은 활동이 활발해지면) 한국 경제를 발전시키는 좋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최근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포럼은 전문가 강연과 블록체인업계 관계자들의 토론 등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비밀계약 및 암호화 토큰 플랫폼인 ‘큐라스(Quras)’의 김홍덕 한국 매니저, 금융권 등에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를 공급하는 ‘그라운드 X’의 이종건 박사, 다국적 대형 법무법인 ‘오멜버니&마이어스’의 김용상 국제변호사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박재찬 김성훈 기자 jeep@kmib.co.kr
[출처]국민일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5&aid=0001236841
다음글 | |
이전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