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코인용어] ‘디앱(DApp)’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기사나 문서들을 읽어보면 디앱(DApp)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디앱에 대해서 가장 쉽고 빠르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세 단어의 뜻을 숙지하세요.
Centralized : 중앙화된, 한 곳으로 몰리는 ↔ Decentralized : 탈중앙화된, 분산되는
Application : 응용프로그램
디앱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앞 글자를 합쳐 놓은 말로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분산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애플리케이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카카오톡을 살펴볼까요.
카카오톡은 김범수 의장이 설립한 카카오그룹이 만든 앱(App)이죠. 우리는 매일 가족이나 친구들과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눕니다. 심지어
회사 업무까지도 카카오톡이 활용되는 비중은 어마어마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모든 대화기록 즉 데이터는
카카오그룹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습니다. 카카오그룹은 우리들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철저한 보안체계를 갖추고는
있지만, 마음만 먹으면 내부직원에 의해 데이터가 노출·변경·위조 또는 삭제가 될 수도 있죠.
이처럼 기존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앱들은 중앙 서버에 보관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디앱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데이터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중앙 서버가 아닌 분산원장기술(분산원장기술은 또 무슨 소리냐고요? 용어정리에서 '분산원장기술'을 검색해보세요^^)의 메인넷을 갖춘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앱이 바로 ‘디앱(DApp)’입니다. 대표적인
플랫폼 코인으로는 이더리움(Ethereum), 이오스(EOS), 트론(TRON)이 있습니다.
디앱은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하는 절차부터 기존의 앱과 다릅니다.
일반 앱에 회원가입을 할 때는 개인정보를 입력해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 후 서비스를 이용하죠. 하지만 디앱의 경우는 계정을 만들 때 이더리움, 이오스 등 해당 블록체인 지갑을 보유해야 합니다. 해당 블록체인 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보상으로 얻는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거래하기 위한 지갑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이더리움 기반 디앱은 이더리움 지갑을, 이오스 기반 디앱은 이오스 지갑을 트론 기반 디앱은
트론 지갑을 갖춰야
합니다.
디앱에 관한 모든 것들을 살펴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댑레이더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