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경기둔화에도 국내 건설사들 해외서 선방···3년 연속 300억달러대

경기둔화에도 국내 건설사들 해외서 선방···3년 연속 300억달러대

등록 2023.01.12 14:38

유지웅

  기자

공유

수주비중 1위 중동에서 아시아로인도네시아 수주액 37억달러 1위

2022년 지역별 해외건설 수주비중=국토교통부 제공2022년 지역별 해외건설 수주비중=국토교통부 제공

해외건설 수주액이 3년 연속 300억달러를 넘겼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기업들은 310억달러(한화 38조5000억원) 규모 해외건설 수주를 달성했다.

경기 침체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건설자재 가격 인상, 고금리 등 악조건이 많았지만 수주액은 2021년보다 증가했다.

해외건설 수주는 2020년 351억달러, 2021년 306억달러, 2022년 310억달러로 3년 연속 3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제공국토교통부 제공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 수주 비중이 39%로 가장 높았다. 중동(29%), 북미·태평양(15%), 유럽(11%)이 뒤를 이었다.

2021년에는 중동 비중이 37%로 가장 높았으나 20%대로 줄었다. 해외건설협회는 중동 비중이 준 근본 원인으로 '저유가'와 '코로나'를 들었다.

김태엽 해건협 실장은 "주요 산유국들이 재정을 보수적으로 운영했다"며 "2000년대 초반부터 인프라를 대거 확충해놓은 상황에 코로나 여파로 세계경기까지 안 좋아 특별히 빨리 발주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36억7000만달러), 사우디아라비아(34억8000만달러), 미국(34억6000만달러) 순으로 수주액이 많았다.

공사 종류별로는 산업설비가 42%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만 중동 발주량 감소에 따라 전년보다 액수가 20% 줄었다. 이어 건축(28%), 토목(19%), 용역(6%) 순으로 수주가 많았다.

코로나19 시작과 함께 줄었던 중소기업 수주액은 2019년 수준으로 반등했다. 지난해 수주액은 16억달러였다.

지난해에는 319개사가 97개국에 진출해 580건의 사업을 따냈다.

뉴스웨이 유지웅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