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반도체 신화→배터리 신화로’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10대그룹 파워 100인(71)]‘반도체 신화→배터리 신화로’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등록 2021.01.28 06:01

임정혁

  기자

공유

LG→삼성반도체→‘초격차’ 신화 주역삼성SDI 맡아 중대형 전지로 체질개선

‘반도체 신화→배터리 신화로’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기사의 사진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삼성의 반도체 신화를 함께 한 주역인 동시에 그만큼 기술과 현장에 밀착된 경영자다. 해외 거래선을 대상으로 직접 영업에 나서는 일도 잦으며 때에 따라선 취재진 앞에서 적극적으로 사업 방향을 설명하는 등 일반적인 CEO와는 다르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계와 학계에서도 손꼽히는 기술 전문가이기도 하다.

1960년생인 전 사장은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목할만한 점은 과거 LG반도체 D램 개발팀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LG반도체가 현대전자에 합병되면서 삼성전자로 이동했다는 점이다.

이후 전 사장은 삼성전자 D램 개발실에서 설계팀장과 개발실장을 역임하며 삼성의 반도체 초격차 신화의 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후 부사장으로 승진해 플래시개발실장, 메모리 전략마케팅팀장, 메모리사업부장을 거쳐 사장으로 승진했고 2017년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됐다.

전 사장 취임 당시 삼성SDI는 2년 연속 이어진 적자로 위기에 봉착해 있었다. 2015년 2675억원의 영업손실은 2016년 삼성전자 노트7 발화사고 여파로 9264억원으로까지 확대됐다. 전 사장은 패배 의식에 사로잡힌 내부 분위기를 쇄신하고 실적을 반등시키는 데 고심했다.

취임 초부터 스마트폰 등 중소형 배터리에 집중하던 사업구조를 ESS·자동차용 배터리 등 중대형 전지로 바꾸라며 경영전략 재수립을 요구했다. 전 사장은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됨에 따라 소형 전지만으로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는데 결과적으론 맞아떨어졌다.

전 사장은 미래 산업 한복판에 있는 배터리 산업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고심하는 모습이다.

전 사장은 2021년 신년사에서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포스트 코로나에서 강조되고 있는 친환경 정책의 중심에 서 있고 비약적 성장이 예고된 미래 핵심 산업”이라며 “시장 변화를 미리 준비하고 선도하는 기업만이 과실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시장의 기회를 우리의 기회로 만들기 위한 도전 과제로는 ‘절대적인 품질 확보’ ‘제품 경쟁력 강화’ ‘역동적인 조직문화 구축’ 등을 꼽았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