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개발한 EME는 발전소의 탈황설비(FGD) 위에 설치하며 정전기 방식을 도입해 굴뚝에서 나오는 백연의 주성분인 습분을 98%까지 제거할 수 있다. 기존 환경설비에 EME만 추가 설치할 경우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0.5㎎/Nm3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이는 환경부 허용기준(12㎎/Nm3) 대비 4%, 수도권 배출기준(5㎎/Nm3) 대비 10%에 불과하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표준 석탄화력발전소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물 크기의 파일럿 EME를 창원공장에 설치해 실험을 완료했다. 또 500MW급 EME 상용화 설계를 마쳐 주요 발전사와 함께 표준 석탄화력발전소에 실증을 계획하고 있다.
송용진 두산중공업 전략/혁신부문장은 “이번에 개발한 EME는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의 30%를 감축하겠다는 정부의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정부는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을 2022년까지 2014년 대비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전국 화력발전소 굴뚝의 배출가스를 실시간 측정해오고 있으며, 기준치 이상 배출할 경우 발전소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두산중공업은 앞서 한국기계연구원과 함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국책과제로 추진하는 ‘표준/신표준 발전소 대상 미세먼지 저감 통합환경설비 솔루션 개발’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2016년 12월 선정됐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lenn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