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6일 토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PBR 검색결과

[총 9건 검색]

상세검색

SK㈜, 지주사 최초 밸류업 공시···최소 배당금 5000원 설정

재계

SK㈜, 지주사 최초 밸류업 공시···최소 배당금 5000원 설정

SK㈜가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한다. SK㈜는 이를 위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10% 수준으로 개선,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수준 기업가치 달성 등 중장기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주주환원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주당 최소 배당금도 설정했다. SK㈜는 28일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사업재편), 재무 건전성 강화,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나가겠다며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공시했다. SK㈜는 외국인

삼성자산운용, PBR 0.5 미만 국내 '밸류업 ETF' 5종 제시

증권·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 PBR 0.5 미만 국내 '밸류업 ETF' 5종 제시

삼성자산운용은 최근 시장의 최대 이슈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에 대비할 수 있는 밸류업 ETF 5종을 정리해 15일 발표했다. 지난 달 24일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발표한 이후 개별 기업이나 업종에 대한 주가순자산배율(PBR)을 언급한 경우는 있지만 ETF 자체의 PBR을 계산해 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국내 ETF 중에 PBR이 0.5배 미만인 KODEX 보험(0.41배), KODEX 밸류

"저PBR주 노려라" 코스피 빚투 늘었다

증권일반

"저PBR주 노려라" 코스피 빚투 늘었다

유가증권시장에 빚을 내서 투자하는 '빚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연합뉴스와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8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의 신용잔고금액은 9조451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8.2%(7172억원)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으로, 이 잔고가 늘었다는 것은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증가했다는 의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종목으

저PBR株 인기에 주주환원·고배당 ETF로 자금 쏠린다

증권일반

저PBR株 인기에 주주환원·고배당 ETF로 자금 쏠린다

정부가 국내 증시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도입을 추진 중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자,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업종을 비롯해 주주환원·고배당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까지 자금이 몰리고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PBR을 포함해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 비교공시를 시행하는 등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주주환원을 독려하면서 해당 업종과 개별 종목에 대한 수혜가 이어지고

금융당국 "PBR 낮은 기업 공시 의무화"···업계 "규제만 더 늘어나,무리한 요구"

증권일반

금융당국 "PBR 낮은 기업 공시 의무화"···업계 "규제만 더 늘어나,무리한 요구"

금융당국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을 대상으로 공시 의무화를 모색 중이라는 발언에 볼멘소리가 나온다. 공시 규제는 늘어가는 추세지만 요건을 갖춘 상장사는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또 공시 의무화 대상을 정하는 기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기업이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 노력하는 측면도 중요하다고 생각

IPO 미룬 케이뱅크···커진 불확실성에 내년 상황 '예의주시'

IPO 미룬 케이뱅크···커진 불확실성에 내년 상황 '예의주시'

케이뱅크의 기업공개(IPO)일정이 내년으로 연기됐다. 시장 상황을 보고 증권신고서 제출 시기를 탄력적으로 결정할 것이라던 케이뱅크가 실제로 무리한 상장보다 한 발 물러선 선택을 내린 셈이다. 미국발 긴축으로 인한 금리인상이 가파르게 이뤄지면서 금융시장이 급랭한 데 이어 같은 업계의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곤두박질 친 영향이다. 다만 내년 초에도 이러한 상황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케이뱅크의 상장이 순탄치 않을 것이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