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건 검색]
상세검색
전주시, A형간염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지원
전라북도 전주시가 A형 간염 고위험군의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한다. 전주시보건소는 20~40대(1999년~1970년생) A형간염 고위험군 중 △백신미접종자 △면역 미형성자 △A형간염 환자 가족 등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을 연중 지원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접종 대상자 중 20~30대(1980~1999년생)의 경우 낮은 항체보유율을 고려해 항체검사 없이 바로 접종이 가능하다. 항체보유율이 높은 40대(1970~1979년생)는 접종 이력이 없을 시 위탁의료기관에서 항체검사(
경기도, A형간염 주요원인 ‘오염된 조개젓’ 섭취 주의 당부
경기도(도지사 이재명)는 올해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A형간염의 주요원인이 조개젓으로 밝혀진 만큼 당분간 조개젓 섭취를 자제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심층역학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까지 확인된 A형간염 집단발생 26건 가운데 21건에서 조개젓 섭취가 확인됐고 수거가 가능한 18건의 조개젓을 검사한 결과 11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 이와 함께 식약처가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제품 136건
A형 간염 수도권으로 북상 중···2040 환자 급증
A형 간염이 10년만에 유행하고 있다. 대전,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항체가 없는 20~40대 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31일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에 따르면 올해 국내 의료기관을 통해 A형 간염으로 신고된 환자는 1만746명이다. 이는 지난 2011년 전수 조사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질본은 A형 간염 환자가 1만 명을 넘어선 것은 2009년(1만5231명) 이후 10년 만이라고 밝혔다. 대전과 충청 지역에서 초기 발생한 A형 간염은 현재 수도권으로 북상하고 있는
성남시, A형간염 무료 예방 접종···밀접 접촉자 대상
성남시(시장 은수미)는 A형간염 무료 예방 접종을 추진해 감염병 확산 방지에 나선다. 시는 재난관리기금 3000만원을 투입해 15일부터 수정·중원·분당구 각 보건소에서 A형간염 밀접 접촉자를 대상으로 무료 예방 접종을 시행한다. 밀접 접촉자는 A형간염 환자의 동거인, 정기적으로 함께 음식을 섭취하거나 화장실을 공동 이용한 사람, 성 접촉자 중 역학조사를 거쳐 선정된다. A형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주로 급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난
수원시, 장안구보건소 직원 1명 ‘A형 간염’ 확진···“확산 차단 총력”
수원시(시장 염태영) 장안구보건소 직원 1명이 지난 26일 A형 간염 확진을 받아 한 병원에 격리 입원 조처됐다. 해당 직원은 지난 24일 증상이 나타났고, 장안구보건소는 곧바로 해당 직원을 응급실로 보내 진료를 받도록 했다. 또 확진 즉시 보건소 청사를 방역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26~27일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항체 보유 여부를 검사했고, 미보유자를 대상으로 오는 7월 2일까지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해 확산을 차단할 예정이다. 법정 1군 감염병
경기도, ‘A형 간염’ 환자 지난해 보다 급증···“각별히 주의해야”
경기도(도지사 이재명)는 ‘A형 간염’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이 늘어났다며 도민들의 각별한 건강관리를 당부했다.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4월 28일까지 도내에서는 1,092건에 달하는 A형 간염환자가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한 330건 보다 762건 증가한 것으로 전국 발생건수인 3,597건의 30.4%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국적으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30% 이상 증가했으며 신고된 환자의 72.6%가 30~40대(30대 37.4%, 40대
수원시, A형간염 환자 80명 발생···“시민들 각별한 주의 당부”
수원시(시장 염태영)는 최근 전국적으로 A형 간염 환자 발생이 급증함에 따라 시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8일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1월 1일~4월 28일까지 전국에서 A형 간염 환자가 3,597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067건)에 비해 237%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수원시에서는 모두 80명이 A형 간염에 걸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24명) 대비 약 233% 증가한 수치다. 20대가 13명, 30대가 27명, 40대가 30명, 50대가 10명으로 주로 30~40대
[이슈 콕콕]A형 간염 확산···보건당국이 긴장하는 까닭은?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B형·C형 간염과 달리 물이나 식품을 통해 감염되는 A형 간염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감염자가 가장 많았던 2017년을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A형 간염은 주로 급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나며 고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증상이 사라진 뒤엔 황달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 A형 간염에 감염돼도 대부분 가볍게 지나갑니다. 하지만 고령, B형 간염, C형 간염 등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