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창원 검색결과

[총 48건 검색]

상세검색

"일자리 있는 곳부터 안정적 분양" 산단 인근 단지 뜬다

"일자리 있는 곳부터 안정적 분양" 산단 인근 단지 뜬다

부동산 조정기가 되면서 지방에서의 미분양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미분양 대응책으로 일정 수준의 수요가 보장되는 직주근접단지 위주로 분양에 나서고 있다. 특히 일자리가 몰려있는 산업단지를 품은 단지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방 분양시장은 국가산업단지가 있는 경북 구미, 충북 청주, 경남 창원 일대를 중심으로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이 조정국면을 맞으면서 실수요자 중심으로 안정적인 분양에

김해·창원 등 경남 매매거래 활기···공급 관심끌까

김해·창원 등 경남 매매거래 활기···공급 관심끌까

김해·창원·양산 등 경남 지역들의 아파트 매매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정보원의 연도별 행정구역별 아파트 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경남 아파트는 9만 5072가구가 매매됐다. 올해도 6월 기준 2만 2961가구가 매매됐다. 수도권 및 광역시를 제외한 지자체 중 상위 10개 시를 살펴보면 김해, 창원, 양산 등 경남 지역만 3개가 포함됐다. 나머지는 충북 1개(청주), 충남 2개(천안, 아산), 경북 2개(포항, 구미), 강원도 1개(원주) 전북 1개(전

BNK경남은행, 창원 기업·소상공인 대출 지원···총 50억 규모

BNK경남은행, 창원 기업·소상공인 대출 지원···총 50억 규모

BNK경남은행이 창원지역 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선다. 4일 경남은행은 창원상공회의소와 '창원경제 붐업 동반성장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경남은행은 창원상공회의소의 이자지원금을 기반으로 대출 재원 50억원을 마련한다. 이어 협약자금으로 조성된 대출을 취급할 때 금리 0.50%를 우대하고 신용등급·거래기여도·담보 등에 따라 최대 1.50% 금리 혜택을 제공한다. 대상은 창원상공회의소 회비 납부 회원사 중소기

LG전자, 창원을 ‘가전’ 메카로···스마트팩토리 속도전

LG전자, 창원을 ‘가전’ 메카로···스마트팩토리 속도전

LG전자가 글로벌 생활가전을 선도해 온 원동력이자 핵심 생산기지인 창원사업장을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로 구축하는 데 가속도를 낸다. LG전자는 20일 창원시 경상남도청 대회의실에서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부사장, 김경수 경남도지사, 허성무 창원시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가전 통합시험실 구축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협약을 통해 LG전자는 2월부터 약 500억 원을 투자해 창원

“바닥 찍고 반등”···올들어 역대 최고가 찍은 ‘창원’

“바닥 찍고 반등”···올들어 역대 최고가 찍은 ‘창원’

경남 창원 집값이 심상치 않다. 일부 단지는 한달전보다 매매가격이 최고 5,000만원이나 뛰는 등 연초부터 성산구와 의창구를 중심으로 신(新)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경남 창원시 성산구 가음동에 위치한 ‘창원 센텀 푸르지오’ 전용84㎡ 20층은 지난달 5억 8,000만원에 거래됐다. 성산구 역대 최고가(전용84㎡기준)로 지난해 12월에 거래된 5억 3,000만원에 비해 5,000만원이나 뛴 금액이다. 성산구와 인접한 의창구에서는 창원시

산업부, 서울 강서·삼척·창원에 수소생산기지 구축

산업부, 서울 강서·삼척·창원에 수소생산기지 구축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서울 강서구와 강원도 삼척, 경남 창원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수소생산기지구축사업은 수소차와 수소버스 보급사업 지원을 위해 수소 수요가 많거나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에서 추출한 수소) 생산지 등 기존 수소생산기지와 거리가 먼 지역에 분산형 수소생산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모두 11개 지역에서 신청을 받아 각 지역의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구축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