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분조위 검색결과

[총 9건 검색]

상세검색

홍콩 ELS 배상 가이드라인 뜯어보니···배상비율 65%vs30% 무엇이 달랐나

금융일반

홍콩 ELS 배상 가이드라인 뜯어보니···배상비율 65%vs30% 무엇이 달랐나

홍콩 H지수 ESL(주가연계증권) 관련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 결과가 발표되며 시중은행의 홍콩 ELS 관련 자율조정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분조위 결과 향후 자율조정에서 65세 이상 고령자와 ELS 최초가입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배상비율을 받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분조위를 열고 5개 은행과 각 거래 고객 간 분쟁 사안 중 대표사례를 한 건씩 선정해 총 5건에 대해 투자손실에 대한 배상비율을 결정

금감원 분조위, 홍콩 ELS 분쟁조정 결과 공개···배상비율 30~65%

금융일반

금감원 분조위, 홍콩 ELS 분쟁조정 결과 공개···배상비율 30~65%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 결과 각 투자손실에 대한 배상비율이 30~65%로 결정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분조위를 열고 5개 은행과 각 거래 고객 간 분쟁 사안 중 대표사례를 한 건씩 선정해 총 5건에 대해 투자손실에 대한 배상비율을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분조위는 5건의 분쟁조정 신청 건에 대해 ELS 분쟁조정기준에 따라 판매사 책임과 투자자 책임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각 투자손실에 대한 배상

금감원, 홍콩 ELS 분조위 13일 개최···자율배상 속도내나

은행

금감원, 홍콩 ELS 분조위 13일 개최···자율배상 속도내나

금융감독원이 오는 13일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주요 판매 은행 5곳에 대한 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를 개최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국민·신한·하나·SC제일·농협은행에 대한 분조위를 13일 열기로 확정하고 이 같은 일정을 당사자에게 통보했다. 홍콩 ELS 판매 규모가 적은 우리은행의 경우 분조위 대상에서 제외됐다. 분조위에는 은행별로 대표사례 1건이 회부됐으며 금감원은 분조위를 통해 각 사례에 대한 배상비율을

하나은행 "분조위 결정 적극 검토···신속한 손해배상 노력할 것"

하나은행 "분조위 결정 적극 검토···신속한 손해배상 노력할 것"

하나은행이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헬스케어 펀드)와 관련한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 조정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하나은행 측은 13일 이날 오후 헬스케어 펀드에 대한 금감원 분조위 조정안에 대해 "하나은행은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검토한 뒤 이를 바탕으로 신속한 손해배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로 인해 손해를 입은 고객분들께 다시 한번 사과 말씀드린다"며 "향

금감원 분조위, 하나은행 '伊 헬스케어 펀드' 최대 80% 배상 결정

금감원 분조위, 하나은행 '伊 헬스케어 펀드' 최대 80% 배상 결정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가 대규모 환매 중단으로 논란을 빚은 하나은행의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에 대해 최대 80%를 배상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금감원 분조위는 13일 하나은행의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이하 헬스케어 펀드) 불완전판매 등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손해배상비율을 최대 한도 수준인 80%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투자자에 대한 하나은행의 자본시장법상 부당권유 금지 위반이 확인돼 기본배상비율을 30%에서

발 빠르게 움직인 손태승···중징계 면할까

발 빠르게 움직인 손태승···중징계 면할까

라임자산운용 펀드를 판매한 은행에 대한 제재 심사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금융감독원 소비자보호처(소보처)가 제재심의위원회에 출석해 의견을 피력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라임 사태 발생 후 충분한 배상 등 피해 수습을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우리은행 제재 수위에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소보처는 25일 우리은행 제재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우리은행의 소비자 보호 조치와 피해 구제 노력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