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바이오마커 검색결과

[총 9건 검색]

상세검색

루닛 AI 솔루션, 담도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美 암학회 논문 게재

제약·바이오

루닛 AI 솔루션, 담도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美 암학회 논문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담도암 환자 대상 치료반응 예측 연구 결과가 미국암학회(AACR) 발행 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IF 10.4, 이하 CCR)'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진행성 담도암에 화학항암제 및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이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혀졌지만, 그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는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번 연구는

한미약품-메딕 '신규 항암제 바이오마커' 개발 맞손

제약·바이오

한미약품-메딕 '신규 항암제 바이오마커' 개발 맞손

한미약품이 유전체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 기업과 손잡고 항암 치료제 연구개발에 속도를 낸다. 한미약품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 기업 메딕 라이프사이언스(이하 메딕)와 신규 항암제 효능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메딕은 미국 스탠포드대학원 출신의 한규호 대표와 이홍표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일루미나 액셀러레이터를 통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미국 BMS를

샤페론, AAIC서 치매 치료제 누세린 관련 혈액 바이오마커 발표 예정

제약·바이오

샤페론, AAIC서 치매 치료제 누세린 관련 혈액 바이오마커 발표 예정

면역 혁신 신약 개발 바이오 기업 샤페론은 오는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미국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4)'에 참가해 치매 치료제 누세린 관련 혈액 바이오마커를 발표할 예정이다. 샤페론은 이번 학회에서 '치매 동물 모델에서 누세린(NuCerin)의 치료 효능 및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누세린은 샤페론이 개발한 'GPCR19' 작용제로, 염증 발생 및 활성에 관여하는 두 가지

디엑스앤브이엑스, 맞춤형 면역 치료제 바이오마커 개발 나서

디엑스앤브이엑스, 맞춤형 면역 치료제 바이오마커 개발 나서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코리(COREE)와 보건산업 및 신약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연간 30억원 규모의 기초의학 연구용 정밀의료 유전체 분석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본 연구 프로젝트는 올해부터 3년간 최소 1만건 이상의 면역세포 프로파일링 된 결과를 빅데이터화 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한다. 보건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코리의 이번 유전체 분석 서비스 투자는 감염병 관련 생물학적 데이터를 분석해

메드팩토, 전 모더나 대표 등 美 바이오 전문가 임상자문위원으로 위촉

메드팩토, 전 모더나 대표 등 美 바이오 전문가 임상자문위원으로 위촉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그렉 리콜라이 전 모더나 희귀질환 부문 대표 등 4명을 임상자문위원회(CAB)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24일 밝혔다. CAB은 메드팩토가 개발 중인 백토서팁은 물론 조만간 공개 예정인 골질환 치료 관련 물질 등 신규 파이프라인의 임상 및 기술이전을 비롯한 상업화 전략에 대해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메드팩토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골다공증, 류머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뼈질환을 근본적

경희대병원 연구팀, '종양변이부담' 통해 폐암 표적치료제 효과 예측

경희대병원 연구팀, '종양변이부담' 통해 폐암 표적치료제 효과 예측

경희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승현, 병리과 성지연 교수팀은 종양세포 내 유전자 돌연변이 수를 나타내는 '종양변이부담(TMB)'이 상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양성 폐암 환자의 표적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해당 연구결과를 SCI급 학술지인 바이오메디신즈(biomedicines)에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승현 교수는 "TMB는 폐암을 포함해 다양한 악성종양의 면역항암제(면역관문 억제제)의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