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6일 토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만족도 검색결과

[총 25건 검색]

상세검색

팀장에게 만족하는 이유 1위 '실무 능력'···불만족 1위는?

기획연재

[친절한 랭킹씨]팀장에게 만족하는 이유 1위 '실무 능력'···불만족 1위는?

팀장과 팀원, 직장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계입니다. 팀장의 리더십은 직장인 95.9%가 기업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정도로 중요합니다. 팀을 이끌어 성과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팀장과 팀원의 관계에서는 주로 팀장이 팀원을 평가할 텐데요. 반대로 팀원들이 팀장을 평가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휴넷이 직장인 628명에게 팀장에 대한 만족도를 물은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3.9점으로 집계됐습니다.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의 만족

삼성전자서비스, 국가고객만족도 '전자제품 AS' 1위

전기·전자

삼성전자서비스, 국가고객만족도 '전자제품 AS' 1위

삼성전자서비스가 한국생산성본부 주관 '2024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에서 전자제품 AS(애프터서비스) 부문 도입 첫 해 1위를 차지했다고 8일 밝혔다. 국가고객만족도 조사는 기업 서비스 품질 향상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개발된 지표다. 각 기업의 서비스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면 조사를 실시해 부문별 1위를 선정한다. 올해 신설된 전자제품 AS 부문에선 스마트폰,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TV, 노트북 총 6개 제품에 대한

'가성비'로 본 해외여행지 1위 나라는 어디?

기획연재

[친절한 랭킹씨]'가성비'로 본 해외여행지 1위 나라는 어디?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많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떠나고 있습니다. 여행은 그 지역에 따라 만족스럽기도, 실망스럽기도 했을 텐데요. 지난 1년 동안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에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여행지는 어디였을까요?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서 실시한 '해외여행지 만족도 조사'*를 살펴봤습니다. * 최근 1년('22년 9월~'23년 8월) 내 해외여행을 다녀온 9375명 대상 조사 만족도 1위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연으

한 번 가면 8만8000원씩 쓰는 '스파브랜드'···만족도 1위는?

리빙

[카드뉴스]한 번 가면 8만8000원씩 쓰는 '스파브랜드'···만족도 1위는?

패션 제품의 기획·생산·유통까지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는 브랜드를 스파(SPA)브랜드라고 합니다. 직접 매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이 줄어 그만큼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도 유니클로, 탑텐 등 여러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데요. 2022년 기준 상위 5개 브랜드 매출액 2조875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스파브랜드를 얼마나 자주 이용하고 있을까요? 한국소비자원에서 최근 1년 새 스파

'딩크' vs '유자녀', 어떤 부부가 더 만족도 높을까?

[카드뉴스]'딩크' vs '유자녀', 어떤 부부가 더 만족도 높을까?

우리나라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OECD 주요국 중 최하위를 기록,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도 걱정(?)할 정도인데요. 앞으로도 더욱 줄어들 전망입니다. 비혼·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인데요.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무자녀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동의' 비율은 28.3%로, 5년 전에 비해 7% 늘었습니다. 특히 20대들의 인식이 크게 변화했습니다. 2명 중 1명이 결혼 후 아이 없이

당신의 '삶의 질' 성적은 몇 등급인가요?

[카드뉴스]당신의 '삶의 질' 성적은 몇 등급인가요?

같은 한국인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저마다 다른 삶을 살고 있습니다. 각자가 느끼는 삶의 질 또한 제각각일 텐데요. 우리나라 국민들은 스스로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 리서치 연구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에 따르면 본인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국민은 17.7%, 부정적으로 평가한 국민은 34.4%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의 약 2배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삶의 질 최상위 등급인 1등급은 0.5%인 반면 최하위 등급인 10등급은 4.6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