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건 검색]
상세검색
카카오, 모바일 다음 뉴스 개편···"이용자 선택권·언론사 편집권 강화"
카카오가 뉴스 이용자의 선택권과 언론사의 편집권을 강화하는 방향의 개편을 이어간다. 카카오는 25일 모바일 다음(Daum) 뉴스를 개편하며 새로운 뉴스 배열 방식과 언론사 구독 공간, 댓글 정책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미디어 전문가들과 협업해 뉴스 노출 알고리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자료도 함께 공개했다.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 선택권과 언론사 편집권이 강화된 것이다. 이용자는 다양한 뉴스 배열 방식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카드뉴스]뉴스에 많이 나온다는 콩글리시···‘이 단어’도?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에 부정 의미인 언(Un-)을 조합해 만든 신조어 언택트(Untact). 내내 코로나19 확산이 이어진 올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듣고 봤던 단어 중 하나일 것 같은데요. 원래부터 외국에서 온 것 같은 이 말이 알고 보면 한국인만 쓰는 ‘콩글리시(Konglish)’라는 사실. 이밖에도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지만 실제 정체는 콩글리시인 사례가 많은데요. 그중 가장 자주 쓰는 말은 무엇일까요?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최근 3달간
[펙트체크]윤영찬 문자로 불거진 포털사 자의적 뉴스편집 논란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포털 다음 운영사 카카오에 뉴스편집, 배열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는 논란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 윤 의원 사태를 두고 뉴스편집, 배열에 사람들이 관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들도 나온다. 카카오 측은 사람의 개입 없이 인공지능이 뉴스를 배열하고 있다며 정면 반박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8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누군가에게 텔레그램 앱으로 메시지를 보낸 사진이 포착돼
네이버, 뉴스 이어 스포츠·연예 제휴매체 수익 배분 모델 변경
네이버는 스포츠 및 연예 서비스 제휴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미디어 행사를 개최하고 뉴스 제휴 언론사들과 마찬가지로 고정 전재료 모델에서 광고 수익 배분 모델로 비즈니스 모델을 변경한다고 21일 밝혔다. 발표를 맡은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운영총괄은 “스포츠와 연예 서비스는 가장 빠르고 즉각적인 이용자 반응이 모이는 콘텐츠 중 하나”라며, “최신 기술과 트렌드에 발맞추어, 네이버 역시 기사는 물론 각종 동영상, 전문가 기고 콘텐츠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