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건 검색]
상세검색
[카드뉴스]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 vs “진짜 늦은 것”
평균 기대수명이 82.7세에 이르며 코앞으로 다가온 듯한 100세 시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이 무색하게도 대부분 직장인은 점차 나이를 먹어가는 것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직장인 2,376명을 대상으로 한 벼룩시장구인구직의 설문 결과를 통해 살펴봤습니다. 우선 이들에게 점점 많아지는 나이가 무게로 느껴지기 시작하는 전환점은 평균 34.6세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러한 부담의 배경에는 새로운
[카드뉴스]‘최소 마흔’ 인기 장수 과자들, 그땐 얼마?
최근 농심 새우깡의 편의점 가격이 100원 인상돼 130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1971년 출시 이후 꾸준한 인기를 이어오며 국내 대표 장수 과자로 꼽히는 이 새우깡도 처음에는 50원이면 살 수 있었다는 사실! 새우깡처럼 오랜 기간 우리 국민의 사랑을 받아온 장수 과자는 또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그 과자들의 출시 당시 판매 가격은 어땠을까요? ◇ 부라보콘=1970년 해태제과에서 선보인 국내 최초의 아이스콘입니다. 2001년에는 최장수 아이스크림으로 인
[카드뉴스]서울에서 제주까지···나이로 본 대한민국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른 나라로 꼽히는 대한민국.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2026년이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인데요. 이렇듯 점차 나이 들어가는 우리나라를 나이로 표현하면 몇 살이라 할 수 있을까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통해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2017년 12월 기준 총 5,177만 8,544명인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의 평균연령은 41.5세로 나타났습니다. 2016년 이후 1년 사이 0.5살이
[카드뉴스]예순다섯은 아직 ‘한창때’일까
우리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82세 수준입니다. 1970년만 해도 61.9세에 불과했던 기대수명이 20년이나 늘어나며 요즘에는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이 흔하게 쓰이고 있는데요. 이에 몇 년 전부터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노인의 연령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의 연령 기준은 만 65세. 그렇다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몇 살부터일까요? 우선 60세 이상 노년 세대의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1월 22일 인천시가
[인포그래픽 뉴스] 도전 가능한 나이 마지노선이 있다?
도전을 위해서 포기해야 할 것들과 실패했을 때 감당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도전하기를 주저하게 만드는 현실. 어느덧 꿈마저 잊어버리고 사는 것만 같아 가슴이 먹먹해집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