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금융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안 의결···"간편송금 악용 보이스피싱 막는다"

금융 금융일반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안 의결···"간편송금 악용 보이스피싱 막는다"

등록 2024.08.19 14:10

이수정

  기자

공유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앞으로 간편송금을 악용한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 대한 정보공유가 빠르게 진행되 즉각적 지급정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고객이 계좌를 개설하거나 거래한도 제한을 해지할 때 금융사가 직접 금융거래 목적을 확인하는 게 의무화된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정된 '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서는 금융회사와 선불업자 간 사기이용계좌 관련 정보 공유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 등 법률이 위임한 세부사항을 규정했다.

우선 간편송금 서비스를 악용한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한 피해구제를 강화하기 위해 금융회사와 선불업자 간 사기이용계좌 등에 관한 정보공유를 의무화했다. 금융회사는 피해금이 선불업자로 이전된 사실을 확인한 경우 선불업자에 피해금 이전 내역 등 정보 확인을 요청하고, 불업자는 피해금이 최종 이전된 사기이용계좌 등을 확인 후 이를 피해금 이전 금융회사 등에 통지해야 한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간편송금 서비스를 악용하여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을 편취하는 경우에도 개정 법령에 따라 신속하게 피해금의 흐름을 파악해 지급정지 등 피해 구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금융회사가 고객의 금융거래 목적을 확인을 의무화 하는 조항도 넣었다. 개정 시행령에 따르면 금융회사는 서면, 팩스, 전자우편 또는 그 밖의 전자적 방법을 통해 증빙서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금융회사는 고객이 제출한 증빙서류가 금융거래의 목적을 확인하는 데 충분치 않은 경우 등에는 한도제한계좌로 개설할 수 있다. 고객이 정보제공을 거부하거나 거래목적이 전기통신금융사기와 관련된 경우 계좌 개설을 거절하거나 기존 계좌를 해지할 수 있다. 이로써 금융사가 대포통장 발생 등에 적극적인 기여가 가능하게 됐다.

상시적인 자체점검 의무도 부과됐다. 개정 시행령에서는 보이스피싱 탐지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했다. 이용자의 계좌에 대한 임시조치(이체·송금·출금 지연 또는 일시 정지) 및 본인확인조치를 실시한 경우 관련 조치내역을 5년간 보존해야 한다. 금융회사의 피해의심거래계좌에 대한 자체점검이 상시화됨에 따라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금융회사의 선제적 감시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