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산업 1분기 시총 증가액 희비···SK하이닉스 3개월 간 30조 폭증

산업 재계

1분기 시총 증가액 희비···SK하이닉스 3개월 간 30조 폭증

등록 2024.04.16 08:47

수정 2024.04.16 09:39

김현호

  기자

공유

2024년 1분기 시총 증가액 추이. 사진=한국CXO연구소 제공2024년 1분기 시총 증가액 추이. 사진=한국CXO연구소 제공

올해 1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100조원 가까이 증가했고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은 지난달 말 기준 260곳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 중 최근 3개월 사이 시총 증가액이 가장 큰 기업은 SK하이닉스로 나타났고 주요 4대 그룹 중에서는 삼성, SK 순으로 높았다.

16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올해 초 국내 시총 규모는 2503조원 수준이었는데 3월 말에는 96조원(3.8%↑) 이상 증가한 2599조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시총 규모가 1조원 넘게 증가한 기업은 35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SK하이닉스는 103조6675억원에서 133조2244억원으로 29조5568억원 이상 증가했다. 삼성전자도 475조1946억원에서 491조9100억원으로 16조7153억원 넘게 뛰었다.

이외에도 ▲셀트리온(7조7988억원 ↑) ▲한미반도체(7조960억원 ↑) ▲HLB(6조8830억원 ↑) ▲현대차(6조8747억원 ↑) ▲KB금융(6조4158억원 ↑) ▲알테오젠(5조6896억원 ↑) ▲삼성물산(5조4192억원 ↑) ▲기아(5조657억원 ↑) 순으로 최근 3개월 시총 증가액이 5조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은 100조5030억원에서 92조4300억원으로 8조730억원 이상 감소했다. 또 ▲네이버(6조5125억원 ↓) ▲POSCO홀딩스(5조5817억원 ↓) ▲에코프로머티(4조7668억원 ↓) ▲LG화학(3조8472억원 ↓) ▲포스코퓨처엠(3조7569억원 ↓) ▲HMM(3조3625억원 ↓) ▲포스코DX(3조1471억원 ↓) ▲SK이노베이션(3조65억원 ↓) 시총은 3조원 넘게 하락했다.

2024년 1분기 국내 4대 그룹 시총 추이. 그래픽=한국CXO연구소 제공2024년 1분기 국내 4대 그룹 시총 추이. 그래픽=한국CXO연구소 제공

국내 주요 그룹 중 삼성은 올해 초 718조1455억원에서 3월 말에는 754조5284억원으로 3개월 새 36조3829억원(5.1%) 이상 증가해 4대 그룹 중 시총 증가액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SK는 LG를 제치고 2위 자리에 올라섰다. SK 시총은 올해 초 179조6757억원에서 207조7517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28조760억원이나 증가했다. 시총 증가율도 4대 그룹 중 가장 높았다.

반면 LG는 LG에너지솔루션 탓에 190조20억원에서 177조3129억원으로 6.7% 감소하며 3위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LG화학 역시 34조원대에서 30조원대로 하락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38조1219억원에서 152조5616억원으로 14조4397억원(10.5% ↑) 넘게 커졌다. 현대차를 비롯해 기아, 현대모비스 등 주요 계열사의 시총이 동반 상승한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 1분기 국내 시총 외형은 소폭 증가했지만 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국내 주식종목의 시총은 오른 곳보다 내린 곳이 15% 넘게 많았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전자, 자동차, 금융, 제약 업종 등의 대장주 종목들은 올 1분기 시총을 상승세로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했지만 이차전지를 비롯해 화학, 운송 업종의 종목 등은 다소 고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