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보험사 RBC비율 4분기만에 하락···DGB생명·MG손보 최저

보험사 RBC비율 4분기만에 하락···DGB생명·MG손보 최저

등록 2020.04.27 12:00

수정 2020.04.29 17:26

장기영

  기자

공유

작년 12월 말 RBC비율 269.5%주주 현금배당 예정액 등 반영푸르덴셜생명·삼성화재 ‘최고’더케이손보 127% 권고치 하회

보험사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 추이. 자료=금융감독원보험사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 추이. 자료=금융감독원

국내 보험사의 지난해 말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이 4분기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269.5%를 기록했다.

생명보험사 중에는 DGB생명, 손해보험사 중에는 MG손해보험의 RBC비율이 가장 낮았다. MG손보의 경우 최근 2000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해 RBC비율이 200% 수준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보험사의 지난해 12월 말 RBC비율은 269.5%로 9월 말 286.9%에 비해 17.4%포인트 하락했다.

RBC비율은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자본적정성 지표다. 각종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손실금액인 요구자본 대비 위험으로 인한 손실금액을 보전할 수 있는 가용자본의 비율로 산출한다.

‘보험업법’에 따라 모든 보험사의 RBC비율은 반드시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금융당국의 권고치는 150% 이상이다.

보험사의 RBC비율이 하락한 것은 2018년 9월 말 261.9%에서 12월 말 261.2%로 0.7%포인트 낮아진 이후 4분기만이다.

요구자본은 운용자산 증가와 변액보증위험액 산출 기준 강화 등에 따른 신용·시장위험액 증가 등으로 2조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가용자본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손실 등 기타포괄손익 감소와 지난해 4분기 중 주주 현금배당 예정액 반영 등으로 5조원 감소했다.

업권별 RBC비율은 생명보험사는 301.2%에서 284.6%로 16.5%포인트, 손해보험사는 260%에서 241.2%로 18.9%포인트 하락했다.

생보사의 RBC비율은 KB금융지주가 인수하는 푸르덴셜생명이 424.3%로 가장 높았다. 오렌지라이프(393.9%), BNP파리바카디프생명(365.7%), 처브라이프생명(344%) 등이 뒤를 이었다.

3대 대형 생보사의 RBC비율은 삼성생명(339.6%), 교보생명(338.9%), 한화생명(235.3%) 순으로 높았다.

생보사 중 RBC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DGB생명으로 169.1%였다. DB생명(176.2%), IBK연금보험(178.5%) 등의 RBC비율도 170%대에 머물렀다.

10개 종합 손보사의 RBC비율은 삼성화재가 309.8%로 가장 높았다. RBC비율이 300%를 웃도는 곳은 삼성화재가 유일하다.

나머지 대형 손보사의 RBC비율은 DB손해보험(223.8%), 현대해상(213.6%), 메리츠화재(202.9%), KB손해보험(188.5%) 순으로 높았다.

반면 RBC비율이 가장 낮은 MG손보는 117.1%로 하락해 계속해서 금융당국 권고치를 밑돌았다.

MG손보는 금융당국의 경영개선명령에 따라 최근 2000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하는 경영개선계획 이행을 완료해 RBC비율이 200%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이 밖에 하나금융지주가 인수하기로 한 더케이손해보험의 RBC비율도 127.7%로 떨어져 금융당국 권고치에 미치지 못했다.

서영일 금감원 보험감독국 팀장은 “지난해 12월 말 보험사의 RBC비율은 보험금 지급 의무 이행을 위한 기준을 100%를 크게 상회했다”면서도 “향후 RBC비율 취약 등이 우려되는 경우 위기상황 분석 강화,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재무건전성을 높이도록 감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