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9일 화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 위해 공공급식 등 새로운 수요처 발굴 필요”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 위해 공공급식 등 새로운 수요처 발굴 필요”

등록 2019.09.05 09:20

강기운

  기자

공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월 30일 KREI 현안분석 제66호 발간‘2019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소비 실태와 향후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달 30일 KREI 현안분석 제66호로 '2019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소비 실태와 향후 과제'란 이슈페이퍼를 발간,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인증제도 개선, 가격인하, 새로운 수요처 발굴, 수출 모색 등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KREI 현안분석 제66호 '2019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소비 실태와 향후 과제'를 요약한다.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2014년 크게 감소한 이후 지속적으로 정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2016~2018년) 유기농산물 인증면적은 연평균 11.3% 증가하였고, 인증 농가 수도 9.7% 증가했다. 하지만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무농약농산물 인증면적은 연평균 4.9% 감소하였고, 인증 농가 수도 7.8% 감소했다.

2018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1.9% 감소한 78.5천 ha이며, 출하량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450.9천 톤이다.

2018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인증면적과 단수가 감소하여 전년 대비 5.4% 감소했다.
인증면적이 전년 대비 2.0% 감소하고 여름철 폭염으로 단수도 감소하여 출하량이 전년 대비 9.2% 감소했다.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5.4% 감소한 1조 2,868억 원으로 추정된다.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은 공급보다 수요가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수출을 통한 유기농산물 소비확대전략이 필요하다.

2017년 세계 유기농 식품 및 음료 시장규모는 970억 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하였으며 향후에도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과 유럽은 세계 유기농식품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소비 의향 및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수출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인증제도 개선, 친환경농자재 비용 절감 등이 요구된다.

잡초 및 병충해 발생이 친환경농법 전환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났으므로 관련 기술개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농가들은 복잡한 인증절차를 친환경농업 실천의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절차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자가제조 친환경농자재를 국가가 승인해 주는 시스템이 갖추어진다면 생산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인증제도 개선, 가격인하, 새로운 수요처 발굴, 수출 모색 등이 요구된다. 특히 새로운 수요처 발굴을 위해 공공급식, 기관 및 기업 급식 등 신시장을 개척할 필요가 있다. 공공급식은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군인, 임산부 등에 이르기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