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24∼25일 전국 성인 1천21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국회 파행 사태와 관련해 ‘한국당에 책임이 있다’는 답변은 전체의 51.6%로 집계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책임이라는 답변 비율은 27.1%였고, 모름 또는 무응답은 19.3%로 나타났다.
한국당 책임론은 30대(62.9%)와 40대(67.7%), 광주·전라(71.4%), 화이트칼라(58.4%), 진보층(75.9%), 민주당(84.8%)과 정의당(82.2%) 지지층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민주당 책임론은 50대(37.0%)와 60세 이상(38.6%), 대구·경북(47.8%), 자영업(34.1%)과 무직·기타(37.9%), 보수층(51.0%), 한국당(79.4%)과 바른미래당(35.2%) 지지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당이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내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철회 주장과 관련해선 ‘공감한다’는 답변은 44.0%,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2.2%로 각각 나타났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인들에 대한 정부의 방문 허가와 관련해선 ‘잘한 일’이라는 평가가 63.8%로 ‘잘못한 일’(32.1%)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성공단 재가동 시 ‘우리나라와 북한 모두에게 경제적 혜택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48.5%, ‘북한의 경제적 혜택이 더 클 것’(36.3%), ‘우리나라의 경제적 혜택이 더 클 것’(11.2%)의 순으로 조사됐다.
국제기구를 통한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 결정에 대해선 긍정평가(50.2%)와 부정평가(48.1%)가 오차 범위 내에서 팽팽히 맞섰다.
법무부 산하 검찰과거사위원회의 고(故) 장자연 씨 사건 조사 결과에 대해선 ‘신뢰할 수 없다’는 의견이 74.2%였고, ‘국정조사·청문회가 필요하다’는 답변(70.2%)도 70%를 넘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51.8%로 한 달 전 조사 때보다 2.2%포인트 상승해 50%를 넘어섰다.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는 0.8%포인트 내린 45.7%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율에선 민주당이 39.2%, 한국당 20.6%, 정의당 8.3%, 바른미래당 5.5%, 민주평화당 0.4% 등의 순이었다.
민주당 지지율은 한 달 전보다 6.3%포인트,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각각 0.1%포인트씩 상승했지만, 정의당은 2.6%포인트 하락했다. 평화당 지지율은 0.7%포인트 떨어졌다.
내년 총선의 정당 후보 선호도 조사에선 민주당이 32.7%로 가장 높았고, 한국당(19.0%), 정의당(8.0%), 바른미래당(3.9%), 평화당(0.4%)이 뒤를 이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