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신창재 지배력 공고···내부거래 줄이는 게 관건

[금융그룹 지배구조 해부/교보]신창재 지배력 공고···내부거래 줄이는 게 관건

등록 2018.04.25 08:21

수정 2018.05.17 11:18

장기영

  기자

공유

신창재 회장, 교보생명 34% 최대주주생명이 증권·운용 등 3개 계열사 지배자본확충 위해 이르면 내년 상장 추진모범규준 초안 따라 통합감독에 대비

편집자주
오는 7월부터 그룹의 금융자산 총 보유량이 5조원이 넘는 복합금융그룹에 대해 금융당국이 통합감독을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감독 대상이 된 7대 복합금융그룹 중 일부 기업들의 고민이 크다. 특히 상호·순환출자 구조를 지닌 기업일수록 더욱 그렇다. 금융당국은 올 7월부터 삼성, 한화, 롯데, 교보생명, DB, 미래에셋, 현대차그룹 등 7대 복합금융그룹을 대상으로 통합감독 체계를 도입·시행한다. 이 방안은 지난 1월 말 확정돼 지난 3일 모범 규준 초안이 공개됐다. 사실상 체계 도입의 시작인 셈이다.

<뉴스웨이>는 금융당국으로부터 특별한 감독을 받게 될 7대 복합금융그룹의 지배구조를 집중 해부해 각 기업이 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으려면 어떤 대안을 선택해야 할 것인지 분석·전망해본다.

신창재 지배력 공고···내부거래 줄이는 게 관건 기사의 사진

사실상 보험지주회사인 교보생명은 비금융계열사와 지분 구조가 얽혀 있지 않아 7대 금융그룹 중 통합감독의 영향에서 가장 자유롭다.

교보생명 금융그룹은 국내 보험사의 유일의 오너 겸 최고경영자(CEO)인 신창재 회장이 교보생명을 지배한다. 교보생명 아래 교보증권,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교보악사자산운용 등 3개 주요 계열사를 거느린 단순하면서도 공고한 구조다.

지배구조의 중심축인 교보생명의 최대주주는 지분 33.78%를 보유한 신 회장이다. 신 회장은 금융계열사 중 유일하게 교보생명의 주식만 갖고 있다.

교보생명은 교보증권 51.63%,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100%, 교보악사자산운용 50%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의 경우 일본 라이프넷이 주식 7.49%를 보유 중이었으나 지난달 풋옵션을 행사해 철수했다. 교보악사자산운용은 합작사인 악사인베스트먼트매니저스(AXA IM)가 나머지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생명보험업계 3위사 교보생명의 지난해 말 총자산은 97조7919억원, 자본은 9조3514억원이다. 교보생명을 포함한 4개 금융계열사 전체 총자산 104조7041억원의 93%, 자본 10조2545억원의 91%를 차지한다.

나머지 금융계열사의 총자산은 교보증권(6조7338억원)이 가장 많고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1121억원), 교보악사자산운용(663억원) 순으로 많다. 자본 역시 교보증권(8149억원)이 가장 많고 교보악사자산운용(602억원),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280억원)이 뒤를 이었다.

교보생명은 금융계열사 외에 교보문고, 교보리얼코, KCA손해사정의 지분 100%를 갖고 있다. 교보정보통신, 생보부동산신탁 주식은 각각 89.82%, 50% 보유하고 있다.

이들 계열사는 매출의 대부분을 교보생명에 의존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감 몰아주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 KCA손해사정의 경우 지난해 전체 보험심사수수료 303억원 중 272억원(89.8%)을 교보생명으로부터 거둬들였다. 교보정보통신 역시 지난해 연간 매출 448억원 가운데 122억원(27.2%)이 교보생명에서 나왔다.

대신 계열사들은 퇴직연금 계약을 교보생명에 몰아준다. KCA손해사정과 교보정보통신은 지난해 12월에도 각각 16억원, 11억원 규모의 퇴직연금 계약을 체결했다.

교보생명을 중심으로 한 공고한 지배구조의 변수는 교보생명의 증시 상장에 따른 신 회장의 지배력 약화와 이로 인한 계열사 장악력 약화다. 교보생명은 삼성생명, 한화생명을 포함한 국내 3대 대형 생명보험사 가운데 유일한 비상장사다. 오는 2021년 보험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과 신(新)지급여력제도(K-ICS) 시행을 앞두고 대규모 자본 확충을 위해 이르면 내년 상장을 추진 중이다.

신 회장 보유분을 제외한 교보생명 주식은 코세어캐피탈(9.79%), 어피니티(9.05%), 온타리오교직원연금(7.62%) 등 재무적 투자자(FI)들이 갖고 있다.

현재 금융그룹 통합감독제도 도입에 대비한 업무는 대표회사인 교보생명 전략기획팀에서 맡고 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이달 초 금융당국이 발표한 통합감독 모범규준 초안에 따라 제도 시행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 회장은 교보생명 창업자 고(故) 신용호 회장의 장남으로 2000년부터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1953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산부인과 의사 시절 시험관 아기 시술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졌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