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목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와 21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한화세미텍은 SK하이닉스와 210억 원 규모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용 TC본더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2023년 한화세미텍 매출의 5.38%에 해당한다. 한국거래소에서 한화비전 주식은 계약 발표 이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총 1,305건 검색]
상세검색
종목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와 21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한화세미텍은 SK하이닉스와 210억 원 규모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용 TC본더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2023년 한화세미텍 매출의 5.38%에 해당한다. 한국거래소에서 한화비전 주식은 계약 발표 이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종목
[특징주]SK하이닉스, 엔비디아發 급락에 장 초반 약세
SK하이닉스 주가가 2.10% 하락하며 장 초반 약세를 기록했다. 이는 엔비디아 주가가 관세 전쟁 우려로 급락한 영향이다. 엔비디아는 관세 부담으로 시가총액이 감소했으며,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을 대량 납품하는 업체여서 영향을 받았다.
종목
키움증권 "SK하이닉스, 범용 메모리 업황 회복에 영업익↑···목표가 24% 상향"
키움증권이 SK하이닉스의 올해 목표주가를 24% 상향 조정해 26만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메모리 업황의 회복과 서버 시장의 최대 판매량 기록 예측에 따른 조치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33조원이 예상되며, HBM과 디램의 가격 반등이 주요 원인이다.
투자전략
삼성전자·SK하이닉스, 우량주 종목 확대 효과···거래대금 1.6조원 넘은 NXT
국내 첫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의 거래대금이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 1조654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우량주가 포함되며 거래가 활발했다. 종목 수가 110개에서 350개로 증가한 것이 거래량과 거래대금 증가의 요인이며, 특히 코스피와 코스닥 주요 종목들이 포함되어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기·전자
'메모리 한파' 삼성전자 직격···ASML 쇼크에 반도체 가격까지 '뚝'
전방산업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더디고 반도체 가격까지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메모리 시장에 잇따라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PC, 모바일, 서버 등에 쓰이는 메모리 수요가 위축됐다는 설명인데 삼성전자에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AI(인공지능) 반도체에 쓰이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고부가 제품은 상대적으로 수요가 견조한 데 삼성전자가 이 시장에서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하면서다. 17일 ASML에 따르면 최근 회사는 지난 3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HBM 독주' SK하이닉스···증권사 "4분기부터 이익 확대 기대"
증권사들이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12단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를 납품한 실적이 올해 4분기부터 반영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이익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대신증권은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6만5000원은 유지했다. 신석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는 8·12단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시장의 독점적 지
전기·전자
"HBM만 잘 나간다"···SK하이닉스, 지각변동 일으킬까
메모리 시장의 온도 차가 지속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에만 온기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HBM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이같은 온기를 반영해 D램 시장 점유율에서도 지각 변동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15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4분기 범용 D램 가격은 0~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 3분기 8~13%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절반가량
전기·전자
"HBM만 잘 나간다"···SK하이닉스, 지각변동 일으킬까
메모리 시장의 온도 차가 지속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에만 온기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HBM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이같은 온기를 반영해 D램 시장 점유율에서도 지각 변동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15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4분기 범용 D램 가격은 0~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 3분기 8~13%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절반가량
양승훈
[양승훈의 테크와 손끝]엔지니어링의 역설, 결국 문제는 다양한 전공의 협업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가 주당 5만원대까지 떨어지고, 문제의 핵심에 HBM(고대역폭 메모리)가 있다는 주장이 늘어나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삼성전자는 HBM을 만들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웨이퍼 한 장에서 뽑을 수 있는 양품의 HBM이 적은 것이다. 즉 수율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보다 낮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HBM 수율은 전문가들에 따르면 30~40% 수준이고, SK하이닉스는 가장 고성능인 HBM3E의 경우 80%가량이라고 한다. 다른 비
종목
[특징주]삼성전자, 어닝쇼크에 '5만전자'로 털썩···SK하이닉스는 4% 강세
국내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 희비가 엇갈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3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 영업일 대비 1000원(1.66%) 내린 5만930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5만8900원까지 내려가며 52주 신저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3분기 실적 여파가 지속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삼성전자가 지난 8일 발표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9조원, 9조1000억원으로 시장기대치 80조8700억원, 10조3047억원을 하회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같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