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6일 토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카카오브레인 검색결과

[총 16건 검색]

상세검색

경영 효율화 나선 카카오···디케이테크인·브레인 합병

IT일반

경영 효율화 나선 카카오···디케이테크인·브레인 합병

카카오가 정보기술(IT) 솔루션 개발 자회사 디케이테크인과 카카오브레인 잔존법인의 합병을 결정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디케이테크인은 10월 1일부로 카카오브레인과 합병할 예정이라고 지난 23일 공시했다. 카카오브레인은 헬스케어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한 후 디케이테크인에 흡수될 예정이다. 카카오브레인은 헬스케어 사업의 물적 분할을 위해 '씨엑스알랩'이라는 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이번 합병은 카카오가 추진 중인 '몸집 줄이기'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사임···김병학 단독 체제로 전환

인터넷·플랫폼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사임···김병학 단독 체제로 전환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가 회사를 떠났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 19일 사임했다. 김 대표는 카카오에서 회사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코GPT' 개발을 주도해 왔다. 1988년생인 김 대표는 2012년 카카오에 입사한 이래 카카오브레인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팀장을 역임했고 2021년 카카오브레인 수장을 맡았다. 당시 그룹 내 최연소 대표로 화제를 모았다. 김 대표는 버추얼 어시스턴트 등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오픈리서치'를

카카오, 카카오브레인과 조직 통합···'절차 6월 중 마무리'

인터넷·플랫폼

카카오, 카카오브레인과 조직 통합···'절차 6월 중 마무리'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기술과 서비스 역량을 결집한다. 카카오는 2일 이사회를 열고 인공지능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등을 영업 양수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영업 양수도 및 조직 통합 절차는 6월 중 마무리 예정이다. 카카오는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맞춰 AI 기술의 일상화·대중화를 추진해 갈 계획이다.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비롯

카카오, AI 자회사에 360억 또 출자···합병 시기에 쏠린 눈

인터넷·플랫폼

카카오, AI 자회사에 360억 또 출자···합병 시기에 쏠린 눈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사업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에 360억원의 운영자금을 또 조달해 이목을 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브레인의 자본총액(279억원)보다 많은 금액을 투입한 것으로, AI 투자에 손실만 커지는 자회사를 구하려는 전략이다. 일각에서는 두 회사의 합병이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한다. 1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카카오는 이날 카카오브레인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카카오브레인이 신주 발행한 보통주

카카오, 카카오브레인에 총 2294억원 출자

인터넷·플랫폼

카카오, 카카오브레인에 총 2294억원 출자

카카오는 카카오브레인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오는 19일 참여한다고 16일 공시했다. 출자목적물은 카카오브레인 보통주식 36만주이며, 출자금액은 360억원이다. 이번 출자로 카카오는 지금까지 카카오브레인에 대해 총 2294억4000만원을 출자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법인 운영자금으로 카카오브레인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브레인, 의료영상 판독문 전문 레이블러 프로젝트 공개

인터넷·플랫폼

카카오브레인, 의료영상 판독문 전문 레이블러 프로젝트 공개

카카오브레인이 흉부 엑스레이 판독문에서 특정 병명을 추출하는 의료영상 판독문 전문 레이블러 프로젝트를 '깃허브(Github)'에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레이블러 프로젝트는 글머리 기호 형식 등 정리되지 않은 자연어로 작성된 판독문에서 특정 병명을 추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이다. 흉부 엑스레이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 가능한 병명 중 발병 빈도 또는 중요도가 높은 ▲골절 ▲흉막 병변 ▲기흉 등 총 13가지 병명 추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예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