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총수일가 검색결과

[총 13건 검색]

상세검색

대기업 총수일가 중 주식담보대출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은?

비즈

[카드뉴스]대기업 총수일가 중 주식담보대출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담보로 설정해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주식담보대출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의 부자 중에서도 손꼽히는 부자인 대기업 총수일가의 주식담보대출은 얼마나 될까요?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대기업 집단 57곳을 조사한 결과, 총수일가에서 담보로 제공한 주식은 총 28조9905억원입니다. 57개 대기업 총수 일가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32.1%가 담보로 제공됐지요. 총수일가가 보유한 주식 중 담보 주식 비중이 가장 큰

공정위, 주식 1% 보유 시 6촌도 '친족'···사실혼 배우자도 포함

공정위, 주식 1% 보유 시 6촌도 '친족'···사실혼 배우자도 포함

앞으로 대기업집단 총수(동일인)의 6촌 혈족이나 4촌 인척 중 총수 회사의 주식을 1% 이상 보유한 경우 총수의 '친족'으로 간주할 전망이다. 전날 공정거래위원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친족 범위 조정안이 규제개혁위원회의 규제 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규제개혁위는 지난 11일 회의에서 해당 심사를 보류했으나 전날 다시 결론을 냈다. 당초 공정위는 국정과제에 따라 대기업 총수 범위를 혈족 6촌·인척 4촌에서 혈족 4촌·인척 3촌으로 줄이기 위한 공정

대기업 총수일가 지분 3.7%로 기업 지배···계열사 출자↑

대기업 총수일가 지분 3.7%로 기업 지배···계열사 출자↑

총수가 있는 66개 집단의 총수일가 지분율이 3.7%로, 적은 지분만으로 계열사 출자 등을 통해 지배력을 강화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대기업집단은 해외 계열사나 공익법인을 통해 기업 지배력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식 소유 현황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지난 5월1일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76개 기업집단(소속회사 2886곳)을 대상으로 진행했

공정위, 한화케미칼 일감 몰아주기 제재 착수

공정위, 한화케미칼 일감 몰아주기 제재 착수

공정거래위원회가 한화케미칼의 총수 일가 일감 몰아주기 혐의에 대해 제재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 사무처는 한화케미칼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누나가 최대 주주인 한익스프레스[014130]를 부당 지원한 혐의가 있다는 내용의 심사보고서를 한화케미칼과 한익스프레스에 보낼 예정이다. 한화케미칼이 한익스프레스에 물류 업무를 맡기면서 시장 거래 가격보다 비싸게 계약을 체결, 한익스프레스에 이익을 몰아준

공정위, ‘간접거래’ 통한 총수 일가 부당 지원도 제재

공정위, ‘간접거래’ 통한 총수 일가 부당 지원도 제재

앞으로는 일감 몰아주기 등 직접 거래뿐 아니라 간접 거래를 통한 계열사 부당 지원도 총수 일가의 ‘사익편취’ 행위로서 제재를 받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 이익 제공 행위 심사지침’ 제정안을 27일까지 행정 예고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총수 일가 등 특수관계인에 대한 편법·불법 지원을 막기 위해 2016년 제정된 ‘총수 일가 사익 편취 금지 규정 가이드라인’을 대체하는 지침으로, 더 구체적인 사익

‘日수출규제 상황은 총수일가 사익편취 예외’ 명문화 전망

‘日수출규제 상황은 총수일가 사익편취 예외’ 명문화 전망

효율·보안·긴급 등 ‘대기업 총수일가의 사익 편취 금지 규정’ 처벌 제외 사유의 세부 기준이 연구 용역을 통해 제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토대로 내·외부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내달 사익편취 심사지침을 확정, 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10일 연합뉴스와 공정위에 따르면 법무법인 한누리 서정 변호사와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신영수 교수 등은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행위 심사지침안’을 발표했다. 공정위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