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9일 화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중산층 검색결과

[총 10건 검색]

상세검색

중산층 절반이 "나는 하위층이다"···기준 뭐길래

[카드뉴스]중산층 절반이 "나는 하위층이다"···기준 뭐길래

경제적·사회문화적 수준이 중간 정도 되면서 스스로 중간층 의식이 있는 사회 집단을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OECD는 각국의 중산층 기준을 중위소득의 75~200%에 해당하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는데요.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산층 중 45.6%가 스스로를 하위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려 절반에 가까운 수치인데요. 그렇다면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조건은 무엇일까요? 통상 중산층은 중간

월급 빼고 다 오르는 거? 전문 용어도 있다, ‘스크루···’

[상식 UP 뉴스]월급 빼고 다 오르는 거? 전문 용어도 있다, ‘스크루···’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가파르게 오르는 요즘. 전 세계적으로도 ‘스크루플레이션’의 공포가 덮쳐온다는 소식이 들리는데요. 가난할수록 힘들어진다는 스크루플레이션, 무슨 뜻일까요? 스크루플레이션은 ‘쥐어짜기’를 뜻하는 스크루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로, 경기는 침체되고 임금도 그대로인데 물가만 상승해 가계 살림살이가 쥐어짜일 정도로 나빠지는 경제 현상을 의미합니다. 지표상으로는 경제가 회복하는 것처럼

개천 출신의 무대는 영원히 개천?

[카드뉴스]개천 출신의 무대는 영원히 개천?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전설처럼 느껴지는 시대. 실제로 우리 사회의 계층 구조가 갈수록 굳어지고 있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우리나라 가구의 계층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봤습니다. 분석은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07~2017년 자료를 바탕으로 했는데요. 해당 자료에서 2007~2010년까지 3년간 계층 이동성 정체가구의 비중은 70.7%였지만, 2014~2017년에는 73.4%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최근 1년간 집계된 정체가구 비율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