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주택가격 검색결과

[총 10건 검색]

상세검색

한은 "가계대출 불확실성 커···적절한 정책조합 긴요"

금융일반

한은 "가계대출 불확실성 커···적절한 정책조합 긴요"

한국은행이 향후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대출에 대한 의견이 엇갈라는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정책적 적절한 조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12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내고 최근 수도권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한동안 가계부채 비율도 현재의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서울 명목 주택 가격은 2021년 고점의 90%를 회복했고, 주택시장 위험지수는 '고평가' 단계에서 재상승했다. 이에

한은 "기준금리 1.0%p 올리면 2년 뒤 집값 최대 2.8% 하락"

한은 "기준금리 1.0%p 올리면 2년 뒤 집값 최대 2.8% 하락"

금리상승과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집 값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준금리가 1.0%포인트(p) 오르면 2년 뒤 주택가격이 최대 2.8%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일 BOK 이슈노트 '주택시장 리스크 평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주택시장 여건을 살펴보면 상‧하방 요인이 혼재돼 있는 가운데 하방 요인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주택가격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주택가격 고점인식, 금리상승 및 대출규제 강

 전국 집값, 어디가 가장 많이 올랐나

[카드뉴스] 전국 집값, 어디가 가장 많이 올랐나

2월 2일, 전국 22만 호의 표준단독주택 가격이 공시됐습니다. 2017년 1월 1일 기준 표준주택 가격은 전국 평균 4.7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6년 상승분인 4.15%보다 소폭 오른 수치인데요. 그렇다면 전국에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어디일까요? 무려 18.03%가 상승한 제주입니다. 이어 부산, 세종, 대구, 서울, 경북, 경남이 뒤따랐습니다. 이들 7개 시도는 전국 평균 4.75% 보다 상승률이 높았지요. 좀 더 상세히 시군구 별 변동 사항을 살펴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