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정유업계 검색결과

[총 67건 검색]

상세검색

중동 분쟁에 中까지 겹쳤다···혼란의 정유업계

에너지·화학

중동 분쟁에 中까지 겹쳤다···혼란의 정유업계

국내 정유업계가 중동 분쟁에 이어 중국의 경기침체에 맥을 못 추고 있다. 특히 이들의 실적을 가늠짓는 국제유가마저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이다. 17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는 16일(현지시간) 배럴당 7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연중 최고치였던 지난 4월 5일(90.89달러)보다 18.5% 감소한 수치다. 앞서 국제유가는 올해 초 중동 분쟁 여파에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다. 1월 초 70달러선으로 출발한 국제유가는 2월 들

정제마진 또 다시 약세...정유업계 촉각

에너지·화학

정제마진 또 다시 약세...정유업계 촉각

국내 정유사들의 실적 지표인 정제마진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지난 2월 배럴당 15달러까지 치솟던 정제마진이 이달에만 무려 5달러까지 하락하면서다. 이에 따라 올해 2분기 국내 정유사들의 실적도 불투명할 전망이다. 23일 하나증권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전 주 대비 0.8달러 하락한 5.4달러로 집계됐다. 정제마진의 손익분기점(BP)인 4~5달러는 넘었지만, 15달러까지 상회했던 올해 초 기록과 비교하면 상대

정유업계에 부는 AI 바람···활용도 '제각각'

에너지·화학

정유업계에 부는 AI 바람···활용도 '제각각'

국내 정유업계가 인공지능(AI)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활용을 발판 삼아 생산·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꾀하겠다는 의도다. AI 시장 전망이 밝은 만큼 향후 정유업계 전반 영역으로도 기술 사용이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정유 4사는 AI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AI 기술을 선제적으로 활용해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SK이노베이션은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익 6247억원···전년 比 66.6% ↑

에너지·화학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익 6247억원···전년 比 66.6% ↑

SK이노베이션의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축소됐다. 다만, 화학사업 견조한 실적으로 영업이익은 늘었다. SK이노베이션은 29일 공시를 통해 올 1분기 매출액18조8551억원, 영업이익 624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5% 줄고, 영업이익은 66% 증가한 수치다. SK이노베이션은 "유가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이익과 정제마진 개선 등으로 에너지, 화학사업의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증가해 1분기 실적을 이끌었다"라며 "배터

"고점 또 고점"···정유업계, 상반기 유가 상승에 '함박웃음'

에너지·화학

"고점 또 고점"···정유업계, 상반기 유가 상승에 '함박웃음'

정유업계 실적 지표인 국제유가가 최근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정유사들의 상반기 실적에도 업계 이목이 쏠린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85.5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0.16% 하락한 수준이나, 연초 WTI가 70달러 선을 상회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10달러 이상 높은 수

에쓰오일, 전 직원에 격려금 지급···기본급의 800%

에너지·화학

에쓰오일, 전 직원에 격려금 지급···기본급의 800%

에쓰오일이 전 직원에게 기본급 800% 수준의 격려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 격려금 규모는 지난 2022년 기본급의 1200% 대비 대폭 줄은 수준이다. 앞서 에쓰오일은 2022년 국제유가와 정제마진 강세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당시 에쓰오일의 연간 매출액은 42조4460억원, 영업이익은 3조4081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에는 유가와 정제마진 하락으로 매출 35조7272억원, 영업이익은 1조4186억원으로 집계됐다.

고공행진 국제유가에 국내 기름값도 '쑥'···정유·해운 '희비'

에너지·화학

고공행진 국제유가에 국내 기름값도 '쑥'···정유·해운 '희비'

국제유가가 최근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에 오름세를 보이면서 정유업계와 해운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통상 고유가는 정유업계 실적 개선 요인으로 판단되는 반면, 해운업계에서는 연료비 부담으로 해석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최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갈등이 확대됨에 따라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1일에는 3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원유(WTI)가 배럴당 78.1달러를 나타내 올해 들어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썼고, 이달

여행 수요 회복에 항공유 소비 '껑충'···정유업계 실적 개선 기대감↑

에너지·화학

여행 수요 회복에 항공유 소비 '껑충'···정유업계 실적 개선 기대감↑

올해 여행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란 진단이 나오자 정유업계도 반색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 항공유 소비가 늘면서 회사별 실적 개선을 뒷받침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25일 연합뉴스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항공사의 여객 운송은 47억명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의 기록(45억명)을 상회할 것으로 점쳐진다. 여객 탑승률도 82.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여행 수요가 코로나 이전을 웃도는 수준까지 회복

정제마진 다시 뛴다···정유업계 실적 반등 신호탄

에너지·화학

정제마진 다시 뛴다···정유업계 실적 반등 신호탄

국내 정유업계 실적을 이끄는 정제마진과 국제유가가 최근 오름세를 보이면서 정유사들의 상반기 실적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경기침체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만큼, 이들의 실적도 두 지표의 상승세에 따라 기지개를 펼 것으로 보인다. 21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3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원유(WTI)는 20일(현지시간) 배럴당 78.18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1.01달러(1.28%) 하락한 수치이나, 올 들어 두 번

정유업계 작년 성적 부진···올해 '신사업'으로 위기 돌파

에너지·화학

정유업계 작년 성적 부진···올해 '신사업'으로 위기 돌파

국내 정유업계가 지난해 국제유가와 정제마진의 동반 하락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들은 주요 먹거리인 정유업 외에 친환경, 윤활유 등 다양한 사업을 키워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은 지난해 유가와 정제마진 하락 여파로 최대 77%까지 실적이 급감했다.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업체는 HD현대오일뱅크와 에쓰오일이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SK이노베이션은 오는 6일 실적 컨퍼런스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