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임금 체불 검색결과

[총 18건 검색]

상세검색

'임금체불 혐의' 박영우 전 대유위니아 회장 "책임 없다" 주장

재계

'임금체불 혐의' 박영우 전 대유위니아 회장 "책임 없다" 주장

광주지역 계열사 임직원의 임금·퇴직금을 체불한 혐의로 기소된 박영우(69) 전 대유위니아그룹 회장이 16일 열린 재판에서 "(본인은)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광주지법 형사1단독 김희석 부장판사는 이날 박 전 회장과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전·현직 대표이사 3명 등에 대한 첫 병합재판을 열었다. 박 회장은 근로자 738명에게 임금과 퇴직금 등 398억원을 미지급한 혐의로 기소돼 수원지법 성남지원 합의부에서 재판받고 있다. 광주지법 재판은 이와 별도

위메프 직원들 퇴직금 체불 사태···티몬도 미지급 가능성

채널

위메프 직원들 퇴직금 체불 사태···티몬도 미지급 가능성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이커머스 플랫폼 위메프가 직원들의 퇴직금 체불로 당국 조사를 받는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위메프는 지난달 중순 미정산 사태 발생 이후 회사를 떠난 직원들의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퇴직금을 못 받은 직원 수는 15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근로기준법 36조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 14일 이내에 퇴직급여를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퇴직금 지급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최근 고용노동

'벌금 138억원' 호주 한인 식당···국내였다면?

소셜

[카드뉴스]'벌금 138억원' 호주 한인 식당···국내였다면?

호주의 초밥 체인점 '스시베이'가 약 138억원에 달하는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한국계 사장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스시베이에서 어떤 일이 있었기에 '벌금 폭탄'을 맞은 걸까요? 호주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스시베이는 종업원 163명에게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직원 대다수는 워킹홀리데이나 취업비자로 호주를 찾은 25세 이하 한국인이었습니다. 호주 연방법원은 임금을 체불한 스시베이의 4개 계열회사에

이정식 고용부 장관, "관계부처 간 협력 통해 임금체불 단절 할 것"

한 컷

[한 컷]이정식 고용부 장관, "관계부처 간 협력 통해 임금체불 단절 할 것"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한건설협회에서 열린 건설업 위기극복 및 임금체불 해소를 위한 관계부처 합동 업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관계부처들이 최근 건설업계 위기상황에 대응하고 협업을 통해 건설업계의 체불해소과 지원 등을 통해 민생경제 안정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 장관을 비롯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김상수 대한건설협회 회장, 윤학수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장

정부, 쪼그라든 건설업 부양···위기 사업장 '대출 전환·안전진단 폐지' 등 지원

부동산일반

정부, 쪼그라든 건설업 부양···위기 사업장 '대출 전환·안전진단 폐지' 등 지원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 협력으로 건설산업 활력 회복을 위한 자금 조달 지원 등을 진행한다. 국토부는 부실 위험이 높은 건설 사업장이 정상화할 수 있도록, 고용부는 노동자들이 임금을 제때 받을 수 있도록, 금융위는 관련 지원 정책이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정부는 6일 건설업계 유관 단체들과 '건설산업 활력 회복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PF사업 위축으로 인한 건설사의 애로 청취 및 협력업체 대금·건설

이스타항공, 미지급금 줄이기 안간힘···제주항공 선택은

이스타항공, 미지급금 줄이기 안간힘···제주항공 선택은

이스타항공이 체불임금 해소를 위해 직원들에게 임금 반납 동의서를 돌릴 계획이다. 1700억원 규모의 미지급금을 조금이라도 해결해 인수 주체인 제주항공의 부담을 낮추겠다는 몸부림이다. 제주항공은 당초 언급한 대로 오는 15일까지 미지급금을 모두 해결하지 않으면 계약을 파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정부와 금융당국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선 만큼, 제주항공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는 미지수다. 13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이스타항공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