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이명희 검색결과

[총 68건 검색]

상세검색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지난해 36억8000만원 수령

유통일반

[임원보수]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지난해 36억8000만원 수령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이 지난해 약 36억80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신세계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유경 총괄사장은 지난해 급여 19억7500만원, 상여 17억1100만원 등을 수령했다. 이는 2022년 35억800만원보다 1억7800만원(5.1%) 늘어난 액수다. 신세계 측은 "이사회에서 결정된 임원 보수 규정에 따라 직위, 위임업무의 성격, 수행 결과, 회사기여도 등을 고려해 보수를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정 총괄사장의 모친 이명희

이명희 신세계 회장 자택, 공시가격 30억이나 떨어져도 1위

이명희 신세계 회장 자택, 공시가격 30억이나 떨어져도 1위

전국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정하는 기준인 '표준주택'의 공시가격의 초안이 공개된 가운데,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8년 째 '가장 비싼 집' 자리를 차지했다. 주택가격이 내리고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2020년 수준으로 되돌아가면서 전반적으로 공시가격이 떨어졌지만 상위 10곳의 순위는 전년과 같았다. 국토교통부가 14일 공개한 2023년 표준주택 25만가구의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내년 전국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올해보다 5.95

신세계 이명희, 정용진·유경 남매와 故 구자학 회장 빈소 조문

[구자학 아워홈 회장 별세]신세계 이명희, 정용진·유경 남매와 故 구자학 회장 빈소 조문

신세계그룹 총수 일가가 12일 별세한 고(故) 구자학 회장의 빈소를 찾았다. 13일 빈소에는 구 회장의 배우자인 이숙희 여사와 자녀들인 구본성 아워홈 전 부회장, 구미현 씨, 구명진 전 캘리스코 대표,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 사위인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 지켰다. 이날 오후 4시 20분께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과 함께 조문에 나섰다. 정용진 부회장의 배우자인 한지희 씨도 함께 조문했

책임경영 약속한 정용진·정유경, 여전히 등기임원 미등재

책임경영 약속한 정용진·정유경, 여전히 등기임원 미등재

지난해 최대주주에 오른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정유경 신세계 백화점 총괄사장이 올해도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이 ‘책임경영’을 강조하며 최대주주 지위를 물려줬으나 여전히 경영상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마트는 오는 24일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제10기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선임,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의 선임 등의 안건을 의결할

석도수 솔젠트 前 대표 경영권 탈환...EDGC “인정 못해”

석도수 솔젠트 前 대표 경영권 탈환...EDGC “인정 못해”

솔젠트를 떠났던 석도수 대표가 해임 6개월 만에 복귀한다. 하지만 솔젠트 측과 새로운 경영진 간의 대치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경영권을 둘러싼 진통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석 대표는 임시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대표이사직을 되찾았지만, 대주주인 EDGC는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인정하지 않고 있다. 25일 솔젠트 주주연합에 따르면 새로 선임된 이사 2명과 감사 1명이 지난 22일 대전지방법원 등기소에서 선임등기를 마쳤다. 석 전 대표와 손

코로나 위기 직면··· ‘남매경영’ 힘 실은 이명희

[유통家 달라진 회장님-③신세계]코로나 위기 직면··· ‘남매경영’ 힘 실은 이명희

유통업계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유례 없는 ‘대변화’를 겪고 있다. 온라인 유통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가속화로 온·오프라인 경계가 사라지면서 이종산업간 합종연횡이 이뤄지는 등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는 중이다. 추후 코로나 팬데믹의 후폭풍이 어떤 식으로, 어디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는 만큼 올해는 더욱 기민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유통업계 그룹사들을 이끄는 오너 총수들은 지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