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6일 토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은행채 검색결과

[총 8건 검색]

상세검색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4%대도 사라졌다

은행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4%대도 사라졌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시중은행들의 연 4%대 예금금리 상품이 사라졌다.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는 연 5%시대를 연지 불과 두달 만에 연 3%대까지 주저앉았다. 26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들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최고 우대금리 기준 연 3.60~3.85%를 기록하고 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은 연 3.85%, 우리은행 '원플러스 예금' 3.80%,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은 연 3.75%, K

금융당국 "차환발행 위주로 은행채 발행 재개···시기·규모 분산"

금융당국 "차환발행 위주로 은행채 발행 재개···시기·규모 분산"

주요 시중은행이 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은행채 발행을 재개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은행연합회에서 금융감독원·한국은행 등과 함께 '제3차 금융권 자금흐름 점검·소통 회의'를 열고 은행채 발행재개 계획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 중 각 기관은 회사채·CP(기업어음) 금리가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완화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러면서 채권시장 안정화 등을 위해 자제해왔던 은행채 발행

은행채 이어 수신금리까지 제동···자금조달 난감해진 은행권

은행채 이어 수신금리까지 제동···자금조달 난감해진 은행권

금융당국이 은행채 발행에 이어 수신금리 인상까지 자제할 것을 권고하면서 은행권이 난감해졌다. 이는 은행권의 주된 자금조달 수단이기 때문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예금금리 인상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시중은행에서 수신금리 경쟁을 하게 되면 은행권에 자금이 쏠리면서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당국은 지난 14일에도 은행권 금융시장 점검회의에서 시장안정화 노력

올해 은행채 발행액 186조원···역대 최대

올해 은행채 발행액 186조원···역대 최대

올해 은행채 발행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업 대출이 은행에 몰리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8일까지 은행채 발행액은 186조5690억원이었다. 이는 금투협이 관련 통계를 제공한 2006년 이래 최대치이며 이미 지난해 전체 은행채 발행액(183조2123억원)도 뛰어넘었다.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8년 은행채 발행액은 122조4144억원이었고 2012년 71조원대로 감소했지만 2017년 다시 122조원대

금융당국, 은행권에 "과도한 자금조달 경쟁 자제해달라" 당부

금융당국, 은행권에 "과도한 자금조달 경쟁 자제해달라" 당부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과도한 자금조달 경쟁 자제를 당부했다. 은행권으로 자금이 쏠리게 되면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4일 은행권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난 9일 금융위원장 및 은행장 간담회의 후속조치로 은행권의 자금조달·운영 실태 점검 등을 위해 금융산업국장 주재로 진행됐다. 은행권에서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SC제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