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육아 검색결과

[총 16건 검색]

상세검색

LS전선, 출산·육아 제도 확대···가족친화경영 강화

전기·전자

LS전선, 출산·육아 제도 확대···가족친화경영 강화

LS전선은 오는 8월 1일부터 가족친화경영의 일환으로 출산 및 육아 관련 제도들을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변화는 임직원들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 친화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LS전선은 자녀 출생 축하금을 확대한다. 첫째 자녀 500만원, 둘째 자녀 750만원, 셋째 자녀부터는 1000만원, 손자녀 250만원을 지급한다. 특히 손자녀 출생 축하금을 지급하는 것은 대기업 중 LS전선이 처음이다. 임신

삼성전자, 일과 육아 병행 임직원 위해 어린이집 확충

전기·전자

삼성전자, 일과 육아 병행 임직원 위해 어린이집 확충

삼성전자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삼성 디지털시티(수원사업장) 임직원들의 육아 부담을 덜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어린이집을 확충했다. 삼성전자는 9일 삼성 디지털시티에 보육 정원 300명, 건물 연면적 1,780평 규모의 제 4 어린이집을 신축하고 개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현재 3개 어린이집을 삼성 디지털시티에 운영 중이고, 이번 신축 어린이집 개원을 통해 보육 정원 총 1200명, 건물 연면적 총 6,080평의 전국 최대 규모(단일

2024 결혼·출산 지원책 정리···저출산 흐름 멈출까?

소셜

[카드뉴스]2024 결혼·출산 지원책 정리···저출산 흐름 멈출까?

우리나라가 직면한 문제 중 미래를 좌우할 가장 큰 것으로 저출산을 꼽을 수 있습니다. 2015년 1.24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은 2022년 0.78명으로 하락했고, 지난해엔 0.6명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출산과 육아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많은 정책이 확대, 강화되는데요. 출산, 육아 지원 정책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봤습니다. 2022년부터 아이를 낳으면 출산 후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첫만남이용권

내년부터 매달 '부모급여' 나온다···우리 아기 몇 살까지, 얼마씩?

[상식 UP 뉴스]내년부터 매달 '부모급여' 나온다···우리 아기 몇 살까지, 얼마씩?

아기가 있는 집은 주목해야겠습니다. 내년 1월부터 매달 '부모급여'라는 게 나오기 때문. 정부는 지난 13일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23~'27)"을 통해 만 0세와 1세 아동에게 부모급여를 지급한다고 밝혔는데요. ▲보건복지부 "출산 후 첫 1~2년간 가정의 소득을 두텁게 보전하고 양육에 대한 부모의 선택권을 강화…" 우선 2023년 지급액은 만 0세 아기의 경우 월 70만원, 만 1세는 월 35만원입니다. 2024년부터는 만 0세 월 100만원, 만 1세 월 50만원으로 금액이

인구보건복지협회-대한병원협회, 함께하면 ‘든든’ 육아 공익캠페인 펼친다

인구보건복지협회-대한병원협회, 함께하면 ‘든든’ 육아 공익캠페인 펼친다

인구보건복지협회(회장 신언항)와 대한병원협회(회장 임영진)는 24일 ‘함께하면 든든육아’ 사회문화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저출산에 따른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육아문화 조성 및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 독박육아 및 일‧생활 균형의 어려움 등으로 출산을 기피하고 있는 요즘, 돌봄에서의 성평등 가치관을 확산하고 사회적 관심과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양 기관은 일상생활에서 육아의 가치를 존

 알림장도 앱으로 쓴다···‘스마트’ 시대의 육아 풍경

[카드뉴스] 알림장도 앱으로 쓴다···‘스마트’ 시대의 육아 풍경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한 명의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수) 1.3명 이하인 초저출산국에 속합니다. 하지만 가구당 자녀수가 줄고 1인당 육아 지출 비용이 크게 늘면서 오히려 유아용품 시장은 급성장했습니다. 2015년엔 2조원 규모를 넘어섰는데요. 무엇보다 ICT 산업의 발달로 부모 세대가 스마트기기 등에 익숙해지면서 육아 풍경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요즘 부모들의 육아는 어떤 모습일까요? KT경제경영연구소가 분석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