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물가 안정 검색결과

[총 29건 검색]

상세검색

식품업계, 추석 장바구니 부담 줄인다···줄줄이 가격 인하

식음료

식품업계, 추석 장바구니 부담 줄인다···줄줄이 가격 인하

식품업계가 추석 연휴를 맞아 장바구니 부담 낮추기에 나선다. 일부 제품 가격을 인하하거나 제품 할인전을 통해 물가 안정에 동참하는 식이다. 밀가루와 설탕, 유지류 등 원가 하락 흐름에 이어 추석을 앞두고 정부가 물가 안정 압박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식품업계는 추석 전후로 제수용품과 생필품, 제과·제빵 등 간식 제품의 가격을 인하하거나 할인 판매를 진행한다. 오뚜기는 이달 1일부터 제수용품인 옛날당면과 부침

이창용 한은 총재 "금통위 기준금리 결정, 독립적으로 할 것"

금융일반

이창용 한은 총재 "금통위 기준금리 결정, 독립적으로 할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정부와 여당이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한다는 지적에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지만 의사 결정은 금통위원과 논의해 독립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출석해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정부와 여당 인사들이 앞 다퉈서 금리를 조기에 인하를 압박한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이전 총재들은 (독립성 확보를 위해) 다른 방향으로 (정부와의) 만남을 줄였지만, 저는

배달의민족, CJ제일제당과 외식업주 '물가안정 원정대' 전개

유통일반

배달의민족, CJ제일제당과 외식업주 '물가안정 원정대' 전개

배달의민족이 지난 3월에 이어 외식업주를 위한 두 번째 물가안정 원정대를 꾸렸다. 배민은 CJ제일제당과 손잡고 식당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주요 식재료를 초저가로 판매하고, 식당 운영 노하우 컨설팅과 콘텐츠를 배민외식업광장을 통해 공개한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국내 대표 식품업체 CJ제일제당과 함께 16일부터 26일까지 2차 물가안정 원정대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롯데웰푸드, 정부 요청에 가격 인상 한 달 미룬다

식음료

롯데웰푸드, 정부 요청에 가격 인상 한 달 미룬다

롯데웰푸드가 코코아를 원료로 하는 제품의 가격 인상 시기를 늦춘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편의점 채널과 이커머스 업체에서 판매하는 초콜릿·빼빼로 등 코코아 관련 제품 17종의 가격을 오는 6월 1일부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대형마트 등 다른 유통 채널은 아직 협의 중인 상황이다. 앞서 롯데웰푸드는 지난 18일 코코아 관련 제품 가격을 내달부터 평균 12% 인상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제품별로 100원에서 최대 1000원 인상되는데, 대표적

CJ제일제당, 물가 안정에 동참···밀가루 가격 평균 6.6% 인하

식음료

CJ제일제당, 물가 안정에 동참···밀가루 가격 평균 6.6% 인하

CJ제일제당이 물가 안정에 동참한다. CJ제일제당은 오는 4월부터 중력밀가루 1kg, 2.5kg 제품과 부침용 밀가루 3kg 등 총 3종의 일반 소비자 판매용 밀가루 제품의 가격을 인하한다. 인하율은 제품별로 3.2%~10% 수준이며, 평균 인하율은 6.6%다. (이상 대형마트 정상가격 기준) CJ제일제당측은 "최근 국제 원맥 시세를 반영하고,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적극 동참하는 차원에서 가격을 내리기로 했다"며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결국 오를 가격이었다

기자수첩

[기자수첩]결국 오를 가격이었다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다. 연말연초는 식품업계가 통상 제품 가격을 점검하고 인상을 결정하는 시기다. 특히 명절이 다가오면 이 같은 고심은 더욱 깊어진다.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따라 명절 전 억눌린 가격 인상 요인을 명절이 지나고 반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매해 1~2월 내 설 명절이 있는 만큼 가격 인상에 이만한 적기도 없다. 그런데 지난해 말에 이어 올해 초는 다소 잠잠하다. 가격 인상 소식이 좀처럼 들려오지 않는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