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8일 월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맞춤법 검색결과

[총 8건 검색]

상세검색

초등 저학년 수준 문해력 어른 몇 명? 전 국민 비율 나왔다

shorts

[저스트원미닛]초등 저학년 수준 문해력 어른 몇 명? 전 국민 비율 나왔다

'추후 공업고등학교'가 어딘지 묻는 게시글이 최근 이슈였는데요. 얼마 뒤 알리겠다는 뜻의 '추후(追後) 공고(公告)'를 공업고등학교의 줄임말로 오인한 거죠. 원 게시글 작성자가 대학생으로 추정돼 더 충격이기도 했는데요. 최근 자주 나오는 문해력 논란, 아주 일부의 문제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지난 8월 2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제4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3.3%인 146만 명이 비문해 성인으로 집계된 것. '비문해 성인'이

‘않이 않 되’, ‘외냐하면’···사랑마저 식히는 최악의 맞춤법들

[친절한 랭킹씨]‘않이 않 되’, ‘외냐하면’···사랑마저 식히는 최악의 맞춤법들

모든 인간관계에서 그렇듯, 연인끼리도 서로에 대한 어떤 ‘기대’가 있을 텐데요. 데이트란 어쩌면 그 기대에 관한 만족과 실망이 오가는 시간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다보면 ‘아, 이건 정말 아닌데’ 싶은 순간도 있기 마련. 그래서 살펴봤습니다. 내 연인에게 정(情)이 떨어지는 때는 언제일까요? 결혼정보회사 가연의 설문조사 결과를 들여다봤습니다. 1위는 역시 신뢰와 연관된 것.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가 40% 이상의 응답률을 보이며 정떨어

‘맞히다? 맞추다?’ 닮은꼴 낱말 제대로 구별하기

[라이프 꿀팁]‘맞히다? 맞추다?’ 닮은꼴 낱말 제대로 구별하기

한글 맞춤법만큼 ‘마스터’하기 어려운 분야도 잘 없을 텐데요. 이 단어가 맞는지 저 단어가 맞는지 알쏭달쏭할 때는 더 그렇게 느껴지고는 합니다. 이에 닮았지만 엄연히 쓰임새는 다른, 헷갈리든 낱말 조합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 맞히다 / 맞추다 = ‘맞히다’는 표적에 맞게 하다, 맞는 답을 내놓다, 침이나 매 따위를 맞게 하다는 뜻. (서로 떨어진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붙이다, 둘 이상의 대상을 비교해 살피다 등의 의미인 ‘맞추다’와는 구별

‘뗐다 붙였다···’ 헷갈리는 의존 명사 바로 알기

[라이프 꿀팁]‘뗐다 붙였다···’ 헷갈리는 의존 명사 바로 알기

마스터하기가 그렇게 어렵다는 한글 띄어쓰기. 그중에서도 뗐다 붙였다를 왔다 갔다 하는 몇몇 의존 명사의 용법은 특히 헷갈리기 쉬운데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뿐 = ‘뿐’은 용언의 관형사형 ‘~을’ 뒤에서 따름이란 뜻을 나타낼 때는 의존 명사로 띄어 쓰지만, 체언 뒤에서 한정의 의미로 사용할 경우에는 접미사가 돼 붙여 씁니다. (의존 명사)보기만 했을 뿐인데. (접미사)정말 너뿐이야. ‘차’(次), 복수를 나타내는 ‘들’도 용법은 같습니다

 ‘않 돼냐’고?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라이프 꿀팁] ‘않 돼냐’고? 맞춤법 쉽게 구분하기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데도 헷갈리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되/돼, 안/않, 대/데’가 대표적인데요.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되’와 ‘돼’는 ‘하’와 ‘해’로 바꿨을 때 ‘하’가 자연스러우면 ‘되’, ‘해’가 자연스러우면 ‘돼’로 쓰면 됩니다. 예를 들어 ‘된다’를 쓸 때 ‘한다’와 ‘핸다’로 바꿔보면 ‘한다’는 자연스럽지만 ‘핸다’는 이상하므로 ‘된다’로 쓰면 됩니다. ‘안’과 ‘않’을 구분할 땐 ‘아니’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