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노원 검색결과

[총 9건 검색]

상세검색

상·중·하계 지구단위계획에 일부 단지 반발···이유는

도시정비

상·중·하계 지구단위계획에 일부 단지 반발···이유는

노원구 상계‧중계‧하계 택지지구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두고 일부 단지에서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상한 용적률 기준이나 예상 기부채납 계획에 있어 단지 간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전문가들은 공익을 확대할 수 있는 제안이라면 검토할 여지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지난 4일 노원구는 노원구청에서 지난달 26일 공고한 '노원구 상계‧중계‧하계택지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는 지구단위계획 대상

재개발‧재건축, 빨리 진행한 곳이 답이었다

기자수첩

[기자수첩]재개발‧재건축, 빨리 진행한 곳이 답이었다

분담금 폭탄 이야기로 부동산 시장이 떠들썩하다. 일부 단지에선 사업을 접자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사업을 접기 전에 분담금의 실체부터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분담금은 공사비와 철거비 등 직접비용과 조합운영비 등을 원래 집주인(조합원)끼리 나눠 내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헌 건물을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데 들어간 돈이다. 조합장이나 건설사가 뒷주머니를 채우기 위해 막무가내로 책정한 금액이 아니란 소리다. 재개발‧재건축이 어제

규제 대폭 완화했지만···강남-비강남 양극화

도시정비

[빗장 풀린 정비사업②]규제 대폭 완화했지만···강남-비강남 양극화

정부가 재건축 사업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내놨지만 일선 현장에선 아직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정부의 대책은 절차간소화가 핵심인데 시장에선 절차보단 사업성 문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는 단지가 대부분이여서다. 최근 정비업계에선 재개발‧재건축에 관련한 정부의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온다. 정부의 재건축 절차완화에도 불구하고 강남 등 일부 부촌을 제외하곤 정책효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선 노도강(노원

특례보금자리론 효과 보나···노원‧도봉 아파트거래 꿈틀

부동산일반

특례보금자리론 효과 보나···노원‧도봉 아파트거래 꿈틀

얼어붙었던 아파트거래 시장이 해동(解凍)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올해 한시적으로 내놓은 주택담보대출인 '특례보금자리론' 출시를 앞두고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실수요자들이 움직이고 있어서다. 다만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가 당초 예상보다 높은데다 정부가 공언한 최대 200만원까지의 취득세 면제도 국회에 반년 넘게 계류하고 있어 효과가 한정적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1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은 저가 아파트가

집값 하위 ‘노도강’ 백조되나 했더니 역주행

집값 하위 ‘노도강’ 백조되나 했더니 역주행

서울에서 비교적 집값이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이 맞은 부동산 봄이 일찌감치 끝날 분위기다. 서울 전체적인 집값 상승과 일대 정비사업 기대감, GTX 등 교통호재 등으로 아파트값이 급등했지만, 대출규제 강화와 금리인상·고점인식 등으로 시장 전체가 관망세를 보이면서 다시 뒷걸음질 치고 있다. 강북구와 도봉구, 노원구는 문재인 정부 이전에는 불편한 교통편 탓에 3.3㎡당 1000만원 선에 아파트값이 형성돼 서울 구별 아파트 매매가 최

저가주택 몰리는 2030···강남·북 아파트시장 온도차

저가주택 몰리는 2030···강남·북 아파트시장 온도차

강남·북 아파트 시장의 온도차가 발생하고 있다. 강남권은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물이 자취를 감추고 관망세에 들어가면서 일부 단지로 급매물이 나오는 등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이지만, 비교적 저가 매물이 많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은 2030세대의 ‘패닉바잉’으로 연일 호가가 치솟고 있다. 지난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올라 전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