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낸드 검색결과

[총 29건 검색]

상세검색

D램·낸드 고정거래가 10% 이상 하락···"수요 부진 영향"

전기·전자

D램·낸드 고정거래가 10% 이상 하락···"수요 부진 영향"

D램과 낸드의 고정거래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3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9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1.7달러로 전월 대비 17.06% 급감했다. 이는 작년 4월 이후 최대치다. D램 가격은 지난 4월 급등한 뒤 보합세를 유지하다가 8월 하락 전환한 뒤 한 달 만에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대해 트렌드포스는 "수요 반등이 약해 PC 제조업체들은 전 기기에 걸쳐 높은 수준의 재고를 처리하고 있다"면

"애플도 탑재" 삼성·SK, 메모리 주도권 낸드까지 번진다

전기·전자

"애플도 탑재" 삼성·SK, 메모리 주도권 낸드까지 번진다

낸드플래시 시장이 역대 최고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AI(인공지능) 효과로 고용량 제품을 만들 수 있는 QLC(Quadruple Level Cell) 기반 제품 수요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객사로부터 QLC 방식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생산 인증을 받은 기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자회사 솔리다임 뿐이라 HBM(고대역폭 메모리)에 이어 낸드까지 양사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2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

"반도체 업황 회복"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8조원대 찍는다

전기·전자

"반도체 업황 회복"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8조원대 찍는다

삼성전자가 D램(DRAM), 낸드(NAND) 등 반도체 시장이 살아나면서 올해 2분기 약 8조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불과 1년 전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에 못 미쳤던 것을 감안하면 실적이 크게 개선된 모습이다.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도 엔비디아를 고객사로 추가로 확보할 경우 하반기 실적 개선세는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2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HBM이 전부 아냐"···D램·낸드 호조에 상승기류 올라타

전기·전자

[삼성 반도체 재도약]"HBM이 전부 아냐"···D램·낸드 호조에 상승기류 올라타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이 오랜 적자 터널을 지나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는 모양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인해 D램(DRAM)은 물론 낸드(NAND) 시장도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실적 회복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시장조사업체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DDR4 8Gb)의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과 같은 2.1달러를 기록했다. D램 가격은

최태원 선택 입증한 솔리다임···삼성·SK, 낸드 주도권 다툰다

전기·전자

최태원 선택 입증한 솔리다임···삼성·SK, 낸드 주도권 다툰다

M&A(인수합병) 사기설까지 돌았던 솔리다임이 AI(인공지능) 바람을 타고 환골탈태했다. 이 기업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국내 M&A 역사상 최대 규모인 10조6000억원을 투자해 세운 SK하이닉스의 낸드 자회사다. 작년 순손실만 4조원이 넘었으나 2분기는 흑자전환도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다. AI 특성상 데이터 저장장치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어 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25일 SK하이닉스는 1분기 2조8860억원의 영업이익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