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6일 토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김익래 검색결과

[총 27건 검색]

상세검색

작년과 다른 국감 분위기에 안도하는 증권가

증권·자산운용사

[2024 국감]작년과 다른 국감 분위기에 안도하는 증권가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 부문 국정감사를 앞두고 여의도 증권가가 한숨 돌리는 모습이다. 당초 상장지수펀드(ETF) 계열사 몰아주기, 해외 부동산 펀드 불완전판매 논란, 임직원 횡령·배임 문제 등이 거론되며 지난해처럼 다수의 증권·자산운용사 경영진들이 국감장에 불려 갈 것이란 예상이 제기됐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만이 오는 17일 금융감독원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10일 정무위는 이날 금융위원회,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 국회 정무위 국감 증인 채택

증권·자산운용사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 국회 정무위 국감 증인 채택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된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는 2차 전체회의에서 올해 국정감사 증인 신청 명단을 확정했다. 국감에서는 SG증권발 무더기 주가 하한가 사태 이후 미흡한 후속대책에 대해 질의가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김익래 전 회장은 지난해 4월 무더기 주가 하한가 사태 이틀 전 다우데이타 주식 140만주(605억원어치)를 시간 외 매매로 처분하면서 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된 라덕연 일당의 조가 조작 움직임에 대

김익래 전 다우키움 회장·임창정, SG발 주가조작 연루 의혹 '불기소'

증권일반

김익래 전 다우키움 회장·임창정, SG발 주가조작 연루 의혹 '불기소'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아온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과 가수 임창정씨가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하동우 부장검사)는 김 전 회장과 임씨를 전날 무혐의 불기소 처분했다고 31일 밝혔다. 김익래 전 회장은 지난해 4월 폭락 사태 2거래일 전 다우데이타 140만주를 시간외매매로 처분해 605억4300만원에 매도했다. 이에 김 전 회장이 계열사인 키움증권을 통해 미공개

'2세'김동준 승계 마쳤지만···소유·경영 분리 불가피

증권·자산운용사

[지배구조 2024|다우키움그룹]'2세'김동준 승계 마쳤지만···소유·경영 분리 불가피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외아들인 김동준 대표가 승계 작업을 마무리했음에도 경영 전면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김 전 회장의 불미스러운 사퇴로 오너 리스크가 불거진 데다가 김 대표 역시 계열사에서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면서 명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다우데이타의 최대주주는 김동준 키움인베스트먼트·키움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로, 사실상 김익래 전 회장에

'23년 키움맨' 황현순 품는 다우키움그룹 오너 김익래

증권일반

'23년 키움맨' 황현순 품는 다우키움그룹 오너 김익래

황현순 전 키움증권 사장이 다우키움그룹을 떠나지 않게 됐다. 지난해 말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직을 내려놨던 황 전 사장은 다우키움그룹의 계열사인 사람인 신규 사내이사로 선임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황현순 전 사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되는 데에는 김익래 전 그룹회장의 신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사람인은 오는 20일 열릴 예정인 주주총회에서 황 전 사장을 신규 사내이사로

40대 그룹 총수 주식재산 10조원 ↑···에코프로 이동채 '증가율' 1위

재계

40대 그룹 총수 주식재산 10조원 ↑···에코프로 이동채 '증가율' 1위

국내 40개 주요 그룹 총수의 최근 1년 간 주식가치가 10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절반 이상은 최근 1년 새 주식평가액이 증가했다. 이중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은 주식 가치가 500% 가까이 상승한 반면 다우키움 김익래 전 회장은 60% 이상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또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15조원에 육박하며 주식재산 1위 자리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