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건 검색]
상세검색
[카드뉴스]남의 일에 ‘참견’이 필요한 순간
2018년,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 이른바 ‘고령사회’에 들어섰는데요. 이와 함께 가정 내에서 벌어지는 노인학대 사례도 매년 늘고 있어 문제입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700만 명에 달하는 전체 노인 중 9.8%가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려 70만 건에 가까운 노인학대가 발생한 셈인데요. 하지만 실제로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노인학대 신고는 1만 건 수준으로 극히 소
[카드뉴스]예순다섯은 아직 ‘한창때’일까
우리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82세 수준입니다. 1970년만 해도 61.9세에 불과했던 기대수명이 20년이나 늘어나며 요즘에는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이 흔하게 쓰이고 있는데요. 이에 몇 년 전부터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노인의 연령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의 연령 기준은 만 65세. 그렇다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몇 살부터일까요? 우선 60세 이상 노년 세대의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1월 22일 인천시가
[인포그래픽 뉴스] 나이 드는 대한민국···고령인구 많은 지역은?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가 불과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이는 미국 73년, 일본 24년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인데요. 점점 빨라지는 고령화로 예상되는 일자리, 복지 등의 문제에 지금부터 철저히 대비해야겠습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