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 금액 한도 제한···치료·간병·입원·간병비 영향 비례형 3대 질환 치료비도 행정지도에 절판 마케팅업계 "당국 우려 이해하지만···급작스런 제재에 당황"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보험상품의 보장 금액 한도 산정 가이드라인'이 시행된다. 앞서 금융당국은 보험상품 개발 시 적정한 보장한도를 산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올해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보장 한도를 평균 치료비와 간병비 수준으로 제한하고 직접 연관성이 없는 위로금·교통비 등 비용은 제외하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또 입원·통원 등 의료비 보장 담보는 실손보험 보장분을 고려해 책정토록 했다.
이에 보험사들의 절판 마케팅에 불이 붙는 모습이다. 일선 현장에서는 이미 "지금이 아니면 가입할 수 없다"며 소비자들에게 가입을 권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상급종합병원 1인실 입원 일당의 경우 금융당국으로부터 과열 경쟁 지적을 받았지만, 아직까지 한도 상향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DB손해보험과 KB손해보험은 상급종합병원 1인실 입원 일당을 최대 60만원까지 보장하기로 했다. 현대해상도 1인실 입원 일당 한도를 최대 60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금융감독원이 암·뇌·심혈관 질환 등 3대 질환 치료비를 비례형으로 지원하는 상품에 대한 판매 중단 행정지도를 내리면서 절판 마케팅이 횡횡했다. 비례형 담보는 가입자가 쓴 의료비(본인부담금)에 비례해 구간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하는 특약이다.
예를 들어 본인부담금이 1000~2000만원일 경우 1000만원을, 2000~3000만원일 경우 2000만원을 보장하는 식이다. 금융당국은 가입자가 더 많은 보험금을 타기 위해 과잉 진료를 부추긴다고 지적하며 비례형 담보 판매를 중단하는 행정지도를 내렸다.
금융당국이 보험사에 무·저해지상품 납입 완료 시점 해지율 가정을 0.1%로, 단기납종신의 해지율을 최소 30% 이상으로 설정하도록 계리가정 변경을 예고하면서 이들 상품에 대한 눈치 싸움도 시작됐다.
무·저해지 상품은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상품이다. 일부 보험사가 이 상품에 높은 해지율을 가정하면서 '실적 부풀리기' 논란이 불거지자 금융당국은 완납 시점 해지율이 0% 수렴하는 모형 중 로그-선형모형을 원칙모형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대부분 손보사가 원칙모형을 선택하면서 업계에서는 결국 보험사들이 무·저해지 상품 판매를 중단할 것이란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똑같은 상품이라도 내년 4월부터는 지금보다 보험료가 인상되기 때문에 현재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절판 마케팅이 시작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단기납종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동양생명은 단기납종신 7년 납 10년 시점 해약환급률을 변경했다. 10년 시점 남자 40세(일반심사)는 118.95%, 여자 50세(일반심사)는 119.31%로 변경했다. 올 초 환급률 경쟁이 붙으면서 환급률이 130%대까지 상승했으나, 금융당국이 불완전판매와 보험사 건전성 등을 우려해 판매에 제동을 걸면서 현재 환급률은 110%대 후반에서 120%대로 조정된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과도한 규제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상품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당국 조치로 급작스럽게 상품 판매가 중단되면 소비자들은 보장은 줄고 보험료는 더 오른 상품에 가입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영업 현장에서도 경쟁이 과열돼 불완전판매 문제가 커질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과잉 진료 등을 우려해 상품 판매에 대해 규제하는 것은 이해하나, 중단하는 타이밍이 아쉽다"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영업 단에서 고객을 설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 1~2달인데, 이 시점에서 갑자기 판매가 중단되면 당황스럽기도 하다. 상품이 거시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어느 정도 보장해 주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km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